선문화건강정보 | 알고 보면 너무 유익한 맥 이야기 (2) 12경맥 첫 번째

[이제는 삼랑선 문명 시대]
이번 호 ‘선문화건강정보’ 기사는 STB 동방신선학교 커리큘럼의 하나로 방영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인체의 구성과 운용에 관련된 정보는 삼랑선三郞仙 문화의 이해를 위한 기본 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건강 관리 증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편집자 주註〉


알고 보면 너무 유익한 맥 이야기 (2)


12경맥 첫 번째


STB동방신선학교 99회 상생라이프




안녕하세요. 한의사 한재환입니다. 알고 보면 너무 유익한 맥 이야기!
두 번째 시간인데요. 지난 시간에 12경맥의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



먼저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인데요. 수양명대장경은 둘째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손가락 위쪽을 지나 엄지와 검지의 뼈 사이 합곡혈合谷穴로 나옵니다. 이후 아래팔 위쪽을 따라 올라가며 팔꿈치 바깥쪽 주름이 끝나는 곳인 곡지혈曲池穴을 지난 후 위팔의 바깥쪽으로 올라가 어깨 관절의 앞쪽으로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독맥의 대추혈大椎穴로 한 번 돌아오고 쇄골 부위 결분혈缺盆穴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는데 아래쪽 줄기는 폐에 이어지고, 횡격막 아래로 내려가 대장에 닿게 되고, 위로 올라가는 줄기는 목 앞쪽으로 올라가 뺨을 뚫고 아랫니의 가운데로 들어간 후 입을 따라 돌아 나와 인중혈人中穴에서 좌우로 교차한 다음 콧구멍 옆으로 올라갑니다.

수양명대장경과 관련된 병증은 경맥이 지나는 부위인 인후통, 치통, 관골통, 콧물, 코피 등이 있습니다. 수양명대장경이 입술을 돌아 지나가므로 얼굴에 여드름이나 뾰루지가 입 주위에 유독 많이 생기는 증상도 대장과 연관이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다음은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입니다. 족양명위경은 코에서 일어나 교차한 뒤에 옆으로 눈 부위까지 올라갔다가 뇌에 이어지고 코 바깥쪽에서 윗니로 들어갔다가 다시 나와 입술을 돌고 아래로 내려옵니다. 이후 턱 뒤쪽 아래 모서리를 따라가다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한 줄기는 귀 앞쪽으로 올라가 이마에 이르고요. 다른 줄기는 목의 인영혈人迎穴을 통과해 내려가 쇄골의 결분혈로 들어갑니다. 여기에서 또 갈라져 몸 안쪽으로 내려가는 줄기는 횡격막 아래로 내려가 위胃에 닿고 비脾에 이어집니다. 피부 쪽으로 내려가는 줄기는 쇄골에서 젖꼭지 안쪽, 배꼽 옆으로 내려가 서혜부의 기충혈氣衝穴로 이어지는데 여기서 몸 안쪽으로 내려갔던 줄기와 합쳐집니다. 이어 대퇴의 앞면을 따라 흐르고 무릎을 지나 정강이, 발등을 따라 이어지고 두 번째 발가락 끝의 여태혈厲兌穴로 들어갑니다.

족양명위경과 관련된 증상은 땀 증상, 소화 관련 증상, 무릎관절 통증, 입술 포진, 인후통, 정신 질환 등이 있는데요. 모두 위경胃經이 지나는 부위와 연관된 증상이죠. 십이경맥과 기경팔맥 중에 뇌와 이어진 경맥이 족태양방광경, 독맥, 족양명위경인데요, 위장과 뇌가 연결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한번 생각해 볼 만한 내용입니다. 우리가 평소 먹는 음식, 규칙적인 식사 이런 습관이 우리의 정신 건강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말해 주는 것이죠.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다음은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입니다. 족태음비경은 엄지발가락 끝에서 일어나 발가락 안쪽를 따라 올라와 안쪽 복숭아뼈 앞의 상구혈商丘穴로 올라옵니다. 이후 종아리 안쪽으로 올라와 경골 뒤에서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과 교차하며 앞으로 나온 후 무릎과 넓적다리의 안쪽 앞 모서리를 따라 올라와 배 속으로 들어가 비脾에 닿고 위胃에 이어집니다. 여기서 두 갈래 줄기가 나와 한 줄기는 올라와 목구멍을 따라가다가 혀에 이어지고 한 줄기는 횡격막 위로 올라가 심장으로 갑니다.

족태음비경과 관련된 증상은 소화 관련 증상과 변비나 설사 등 대변 증상, 피로, 불면증, 혀 증상 등이 있습니다. #식사 후 졸음이 오는 식곤증은 비기脾氣가 허해서 생기는 대표적인 증상이고요, 췌장의 문제로 생기는 당뇨, 그로 인한 만성피로도 비脾와 연관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비경脾經은 심장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불면증, 건망증도 비장과 연관이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



다음은 수소음심경手少陰心經입니다. 수소음심경은 심장 속에서 일어나 한 줄기는 횡격막 아래로 내려가 소장에 이어지고요. 또 한 줄기는 심장에서 목구멍 옆으로 올라가 눈에 이어집니다. 마지막 세 번째 줄기가 심장에서 폐로 올라갔다가 내려와 겨드랑이 아래로 나오고, 위팔 안쪽 뒤를 따라 내려가 팔꿈치 안쪽의 소해혈少海穴을 통과합니다. 이어 아래팔 안쪽 뒤편을 따라 손목 척골 쪽 튀어나온 손뼈의 끝인 신문혈神門穴로 갔다가, 손바닥의 안쪽 뒤를 지나 새끼손가락의 안쪽을 따라 그 끝으로 나옵니다.

수소음심경에서 중요한 내용은 심장과 눈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인데요. 우리는 주로 눈을 통해 현실을 인식합니다. 한의학에서는 심주신心主神이라 하여 우리가 현실을 인식하고 사고하는 의식 작용을 심장의 역할로 설명하였습니다. 실제로 편하게 앉거나 누워서 눈만 감아도 심장이 안정되는 것을 느낄 수 있죠.

수소음심경과 관련된 증상으로는 눈이 탁해지는 증상, 인후와 목이 건조해지는 증상과 손바닥에서 열이 나는 증상 등이 있으며 모두 심경心經의 경로와 관련된 증상입니다.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



다음은 수태양소장경手太陽小腸經입니다. 수태양소장경은 새끼손가락 바깥쪽 끝에서 일어나 손의 바깥쪽을 따라가다가 손목으로 올라와 척골의 양곡혈陽谷穴로 나오고요. 이후 아래팔의 척골 아래쪽으로 따라 올라와 팔꿈치 끝과 안쪽 뼈 사이의 소해혈로 나옵니다. 위팔의 바깥쪽 뒤를 따라 올라 어깨관절로 나와 견갑골을 둘러 가다가 어깨 위에서 교차하며 쇄골의 결분혈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갈라지는데 한 줄기는 내려가 심장에 이어지고, 횡격막 아래로 위胃에 도달하고 소장에 닿습니다. 한 줄기는 쇄골에서 목을 관통하여 올라가는데 뺨에서 또 갈라져 한 줄기는 눈으로 갔다가 귓속으로 들어가고, 다른 줄기는 코뼈로 올라가 코를 지나 눈 안쪽 구석에 도달합니다.

수태양소장경과 연관된 증상은 주로 통증인데요, 어깨와 목의 통증, 눈과 머리의 통증, 또 심장과 위장을 통하여 소장으로 내려가는 길에서 발생되는 통증, 즉 식도나 위의 통증 또한 소장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 어떠신가요? 이제 십이경맥이 조금 친근하게 느껴지지 않으신가요? 이다음에는 남은 여섯 개의 십이경맥에 대해서 알아보며 십이경맥 마스터가 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