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모시로이面白い(재미있는) 日本語
[생활 속에서 배우는 외국어]
도전道典 속 ‘수행’ 성구 말씀
<도전 2:141 / 일본어 도전 2:110>
닦은 바에 따라 도통을 주리니
磨いた度合いに応じて道通を与える
미가이따 도아이니 오-지떼 도-츠-오 아따에루
공자는 다만 72명만 도통시켰으므로, 얻지 못한 자는 모두 원한을 품었느니라.
孔子は七十二人しか道通させることが出来なかったので、
코-시와 나나쥬-니닝-시까 도-츠-사세루 고또가 데끼나깟따 노데
道通が得られなかった者は皆恨みを抱いた。
도-츠-가 아라레 나깟따 모노와 미나 우라미오 이다이따
나는 누구나 그 닦은 바에 따라서 도통道通을 주리니
私は誰にでもその磨いた度合いに応じて道通を与える。
와따시와 다레니 데모 소노 미가이따 도아이니 오-지떼 도-츠-오 아따에루
도통씨를 뿌리는 날에는 상재上才는 7일이요, 중재中才는 14일이요, 하재下才는 21일 만이면 각기 도통하게 되느니라.
道通の種が蒔かれた時には、上才は七日、中才は十四日、
도-츠-노 타네가 마까레따 도끼니와 죠-사이와 나노까, 츄-사이와 쥬-욧까,
下才は二十一日で道通するようになるだろう。(141)
게사이와 니쥬-이찌니찌데 도-츠-스루 요-니 나루 다로-
핵심어휘
-道通 [도-츠-] 도통- 道通させる [도-츠-사세루] 도통시키다
- 道通を与える [도-츠-오 아따에루] 도통을 주다
- 道通を得られなかった[도-츠-오 에라레 나깟따] 도통을 얻지 못했다
- 恨みを抱く [우라미오 이다꾸] 원한을 품다
- 磨いた度合いに応じて [미가이따 도아이니 오-지떼] 닦은 바에 따라서
- 道通の種が巻かれる時[도-츠-노 타네가 마까레루 도끼] 도통씨를 뿌리는 날
- 上才[죠-사이] 상재 / 中才[츄-사이] 중재 / 下才[게사이] 하재
語源 일본어! 그거 다 우리말이야! : 일본식 외래어와 일본식 한자
흔히들 일본 사람의 영어 발음은 엉터리라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일본어에는 받침이라고는 ん(응)이 고작이고, 또 모든 발음이 모음으로 끝나기 때문에 다양한 영어 발음을 일본어로 나타내는 것은 무리일 수밖에 없겠죠. 그래서 일본 사람들은 발음하기 힘든 외국어를 그네들식의 외래어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또 복잡한 한자도 간단히 일본식 약자로 쓰고 있습니다. 남의 것을 가져다 개량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일본인들의 사고방식이 언어에도 나타나는 것이죠.
●일본어화된 외국어(외래어)
パソコン(파소콘-) :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ー(파-소나루 콤-쀼-따-)personal computer의 줄임말
ワープロ(와-프로) : ワードプロセッーサ (와-도 프로셋-사)
word proscessor의 줄임말
モボ(모보) : モダンボーイ(모단-보-이) modern boy
モガ(모가) : モダンガール(모단-가-루) modern girl
デモ(데모) : デモンストレーション(데몬-스또레-숀) demonstraition 한국에서도 쓰이는데 원래 일본에서 건너온 말입니다)
セクハラ(세꾸하라) : sexual harassment 성희롱
ナウい(나우이) : Nowい(나우이), 현대적인
ナウいなスタイル (나우이나 스타이루) : 현대적 스타일
- 『문화로 배우는 이야기 日本語』 김용운 저 69쪽 -
『일본인이 가장 많이 쓰는 일본어 표현 300 中
のんき 농-끼 : 무사태평
더운 지방에 사는 사람들일수록 말이나 행동이 굼뜨지요. 그렇지만 성격은 밝고 気長な(키나가나 : 느긋한) 경우가 많아요. 보통 短気な(탕-끼나 : 성격이 급한) 사람들이 느긋한 사람들을 보며 답답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한술 더 떠 のんきな(농-끼나 : 만사가 무사태평인) 사람들을 보면 정말 화가 나겠지요. 아무 걱정이 없는 무사태평인 성격은 자기 스스로 스트레스를 거의 받지 않아 정신 건강에 좋지만, 지켜보는 주변 사람들에게는 짜증을 불러일으키며 스트레스를 주는 경우가 많답니다.
〈실전대화〉
W ねえ、夏休みの宿題やった?
네- 나쯔야스미노 슈꾸다이 얏따?
있잖아, 여름방학 숙제 했어?
M 俺?大丈夫っしょ。まだ一日あるし。
오레? 다이죠-붓쇼 마다 이찌니찌 아루시
나? 괜찮아. 아직 하루 남았고.
W そんなのんきな事言ってて大丈夫?自由研究もあったよね?
손-나 농-끼나 고또 잇떼떼 다이죠-부? 지유-켕-뀨-모 앗따요네?
그렇게 태평한 말만 해서 괜찮겠어? 자유연구도 있었지?
M 大丈夫だって。いざとなったらお前の写せばいいじゃん。
다이죠-부 닷떼 이자또 낫따라 오마에노 우쯔세바 이-쟝-
괜찮다니까. 여차하면 네 것을 베끼면 되잖아.
[관련어휘]
∙いざとなったら[이자또낫따라] 여차하면, 만일의 경우∙写す[우츠스] 베끼다. 본뜨다. 모방하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