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 중동 시아파 수니파의 갈등 격화 / 북한 수소폭탄 실험
[지구촌개벽뉴스]
사우디의 시아파 성직자 처형
중동 시아파 수니파의 갈등 격화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1월 2일 이집트인, 차드인을 포함한 47명을 테러 혐의로 참수하거나 총살하는 방식으로 처형하였다. 여기에는 시아파 성직자 4명이 포함되어 있었다. 2011년 이후 ‘아랍의 봄’ 때 사우디 내 시아파 저항운동의 상징으로 떠오른 성직자 셰이크 님르 바르크 알님르(56)도 그 중 한명이다. 이러한 사우디에 대해 시아파 국가들은 즉각 반발했다. 이란은 외무부 대변인의 발표를 인용하여 “사우디 정부가 테러 움직임과 극단주의를 지원하면서 자국에서는 반대파를 대상으로 사형을 실행하고 있다”며 “사우디 정치인들은 신의 복수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우디는 이란의 노골적인 비난이 ‘무책임하다’며 이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자국 주재 이란 대사를 소환했다. 그러자 이란 수도 테헤란과 제2의 도시 마슈하드에서는 사우디 대사관과 영사관을 향해 화염병과 돌은 던지며 사우디 국기를 찢는 시위를 벌였다. 알말리키 이라크 전 총리는 “알님르 처형이라는 범죄로 사우디 왕가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우디 동맹국인 바레인에서도 수십 명의 청년들이 사형에 항의하기 위해 시위를 전개했다. 레바논,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예멘 등에서도 시아파의 항의 시위가 잇따랐다. 알카에다 아라비아반도 지부는 “사형이 집행되면 사우디를 공격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존경받는 성직자를 테러범과 함께 처형한 것이 시아파 지도층을 더욱 자극한 것이다. 한편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성명을 통해 사우디의 정치적 자유의 제한과 이번 사건이 테러와의 전쟁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현재 중동 국가간 분쟁의 근원인 수니파-시아파 갈등은 약 1천 4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632년 이슬람교 창시자인 무함마드가 후계자를 정하지 않은 채 숨을 거두면서부터다. 이때 무함마드의 혈육을 후계자로 해야 한다는 시아파, 공동체 합의를 통해 능력있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는 수니파로 의견이 갈렸다. 무함마드에겐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시아파는 무함마드 사촌이자 사위인 알리(Ali) 이븐 아비 탈립(이하 알리)을 초대 칼리프(Caliph, 후계자)로 추대했다. 하지만 수니파는 무함마드의 친구이자 장인丈人인 아부 바크르를 추대했다. 시아(Shi'a)는 시아트 알리(shī‘at Alī)의 준말로서 ‘알리의 추종자들’이라는 뜻이다. 반면에 수니는 무슬림 공동체(움마)의 ‘순나’(관행)를 따르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결국 수니파 의견이 채택돼 아부 바크르가 초대 칼리프가 됐다. 이후 시아파는 공동체 내의 큰 불만 세력이 됐다. 일단 초기에는 회의에서 뽑힌 칼리프가 무함마드의 뒤를 이었다. 아부 바크르-오마르-오스만-알리 등 선출된 4명의 칼리프가 다스린 시대를 ‘정통 칼리프 시대’(632~661년)라고 부른다. 하지만 무함마드가 남긴 유일한 혈육으로 4대 칼리프에 올랐던 알리가 곧바로 암살되면서 갈등이 노골화됐다. 그 뒤 알리의 장남 하산마저 수니파 꾐에 넘어간 그의 아내에게 독살당하고, 차남 후세인도 수니파와 치른 전투에서 숨지면서 두 종파는 원수가 됐다. 이렇게 시작된 1,400년 전의 원한은 지금도 악순환을 계속 하고 있다. 2011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시리아 내전은 시아파 정권(알아사드) 대 수니파 반군, 2015년 터진 예멘 내전은 수니파 정권 대 시아파 반군의 대결 구도다. 종파 전쟁 성격이 강한 내전은 다른 이슬람 국가에도 영향을 미쳐 분쟁을 확산시킨다. 최근에는 이란 핵협상 과정에서 사우디가 반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극단주의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퇴치를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에서도 이런 종파갈등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이슬람 신자는 수니파가 85%로 다수, 시아파가 15%로 소수이다. 국가별로 수니파는 사우디와 시리아·이집트·예멘·레바논·파키스탄·아프가니스탄 등 대부분 이슬람국가를 차지하고 있고 이란, 이라크, 바레인 등은 시아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
북한 수소폭탄 실험
4차 핵실험으로 한반도 다시 핵위기
지난 1월 6일 북한의 함북 길주군 풍계리에서 또 다시 핵폭발이 일어났다. 조선중앙TV는 이날 낮 12시에 “첫 수소탄 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 새롭게 개발된 시험용 수소탄의 기술적 제원들이 정확하다는 것이 완전히 확증됐으며 소형화된 수소탄의 위력을 과학적으로 해명했다.”고 주장했다. 우라늄 원자핵을 분열시키는 과정에서 나오는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원자폭탄과는 달리 수소폭탄은 수소 원자핵의 융합반응을 이용한 핵폭탄이다. 보통 원자폭탄의 수십 배에서 수백 배의 위력을 갖는다. 현재 수소폭탄을 보유한 국가로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등이 꼽힌다.
그러나 한국과 미국의 정보 당국자는 이번 실험이 “수소탄이 아니라 증폭핵분열탄이나 단순한 핵실험”으로 규정했다. 폭발의 강도가 지난 3차 핵실험의 80% 수준으로 관측되었기 때문이다. 통상 수소폭탄은 보통 1Mt(메가톤, TNT 폭약 100만 톤 위력)이지만 이번 4차 핵실험을 한국 당국은 6kt, 해외 전문가들은 15kt 정도의 위력으로 평가했다. 실제 수소폭탄과는 큰 차이가 나는 것이다.
북한의 4차 핵실험은 유엔 안보리의 제재 대상이다. 유엔 안보리는 3차 핵실험 직후 대북 결의안 2094호를 채택했다. 여기에는 북한이 추가 핵실험을 할 경우 안보리가 “추가적인 중대한 조치”를 취한다는 트리거 조항(Trigger clause)이 포함됐다. 북한에 대한 제재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들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여기에는 중국의 협조가 절대적이다. 중국은 북의 지정학적 가치 때문에 체제안정을 위협하는 수준의 안보리 제재를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핵실험 후 한, 중간의 군사 문제를 논의하는 핫 라인(Hot line)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아 이러한 우려는 현실화될 공산이 크다.
북한 핵실험에 대한 대책으로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이 미국 전술핵무기의 재배치이다. 주한 미군 전술핵무기는 1967년쯤 950기로 정점을 기록한 뒤 1980년대 중반 150여 기로 줄었다가 1991년 말 노태우 정부 당시 한반도 비핵화 선언 및 미 정부 방침에 따라 완전 철수됐다. 하지만 한, 미 정부 모두 전술핵 재배치에 부정적이다. 결국 미국에 의한 핵우산 강화가 가장 손빠른 대응이다. 지난 1월 10일 미 공군의 장거리 폭격기 B-52가 경기도 오산 미군기지에 나타났다. 괌을 출발한 지 6시간 만이다. B-52는 착륙하지 않고 30초가량 저공비행을 하다 괌의 앤더슨 기지로 복귀했다. 짧은 훈련이었지만 미국의 핵우산 정책이 확고하다는 것을 대내외에 과시한 이벤트인 셈이다. B-52 폭격기는 최대 상승 고도가 16.8㎞로 적의 대공포가 닿지 않고 또 24Mt급 수소폭탄 4발, 공중발사 크루즈(순항) 미사일, 핵탄두 공대지미사일을 탑재하고 있는 미군의 대표적인 전략무기이다. 특히 지하 벙커를 파괴하는 벙커버스터(GBU-28)가 탑재돼 북한군이 가장 부담스러워 한다. 미 원자력잠수함과 이지스함에 탑재된 토마호크 미사일 역시 북한의 핵공격 시 핵우산으로 제공되는 대표적 수단이다. B-52 외에 미국이 한반도에 전개할 수 있는 전략자산으로는 핵추진 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함과 핵추진 잠수함, F-22 스텔스 전투기(랩터), B-2 스텔스 폭격기(스피릿) 등이 있다.
북한의 핵무장에 대해 전 세계가 반대하고 동북아 주변 국가들 역시 한 목소리로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주변 각국은 물밑에서 각기 다른 셈법으로 전략 계산에 분주할 것이다. 분명한 것은 핵을 담보로 한 북한의 군사노선이 지역 불안을 더욱 가중시키고 밖으로 미, 중의 패권경쟁과 일본의 우경화와 맞물려 한반도의 미래를 더욱 불투명하게 한다는 점이다. 한반도는 어디로 갈 것인가?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