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B상생방송 캠페인] 도서관의 유래, 하도와 낙서
[STB하이라이트]
요즘 도서관圖書館이 지역사회의 문화 중심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책을 열람하고 대출받는 것은 물론이고 각종 강연, 발표 등의 문화행사와 학술모임들이 도서관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도서관의 도 자는 그림 도圖자이고, 서 자는 글 서書자입니다. 곧 그림과 글을 보관하는 곳이라는 의미입니다. 도서관이라는 말의 유래는 어디서 비롯되었을까요?

하도·낙서에서 유래한 도서관
도서관의 도서圖書란 말은 하도·낙서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하도河圖의 ‘도圖’ 자와 낙서洛書의 ‘서書’ 자를 합쳐 도서圖書라고 하였습니다. 원래 도서관은 하도와 낙서를 보관하는 곳이었습니다. 고대 왕실에서 소중히 보관했던 물건들 중에서 가장 귀했던 물건이 바로 하도와 낙서입니다. 기록에 의하면 주나라 성왕成王이 죽자 장례를 치르게 되었는데 그 때 임금이 쓰던 물건들을 함께 넣었고 그 중에 하나가 하도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하도는 임금의 장례에 쓰일 만큼 중요하고 귀중한 물건이었습니다. 왜 옛 사람들은 하도와 낙서를 그토록 소중히 여긴 것일까요?
하도·낙서는 배달·조선 때 나온 천강서天降書
지금으로부터 5,500년 전 배달국의 태호복희씨가 천하天河에서 나온 용마龍馬의 등에 비친 그림을 보고 하도를 그렸습니다. 복희씨는 천부경天符經을 읽고 또 읽어 천부경에 나오는 1에서 10까지 수의 정신에 완전히 통했기에 하늘에서 하도를 받아내릴 수 있었습니다. 복희씨는 하도를 바탕으로 하여 팔괘八卦를 그렸고, 후대에 팔괘에서 주역의 64괘가 만들어졌습니다. 동양의 음양오행 문화의 근원에 하도가 있습니다. 하도는 자연의 변화 질서에 대한 최초의 완벽한 깨달음으로 ‘인류 문명의 출발점이자 근원’이 됩니다. 컴퓨터를 비롯한 오늘날 디지털 문명의 바탕이 되는 이진법(0과 1) 역시 하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도와 낙서는 우주 변화의 암호 해독판
하도와 낙서는 ‘우주 변화의 암호 해독판’으로서, 신의 가르침을 자연수로 표현한 ‘진리의 원 뿌리요 원형’입니다. 하도가 체體, 상常, 정靜이라면 낙서는 용用, 변變, 동動에 해당됩니다. 하도가 상생의 세상이 이루어진 ‘후천의 이상향’을 나타낸다면 낙서는 후천을 향해서 가는 ‘선천의 상극 현실’을 그려줍니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