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칼럼 | 망심妄心과 무망지심无妄之心
[철학산책]

약력: 충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 취득(중국철학 전공, 세부전공 : 주역과 정역). 충남대학교 역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역임, 목원대, 배재대, 청운대 외래교수 역임하였고,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 중이다. STB상생방송에서 <주역 계사상·하편> 강의를 완강하였고 현재 <소통의 인문학 주역>을 강의, 방송 중이다.
많은 사람들의 심리적 갈등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생길 수 있다. 그 원인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끝없는 탐욕貪慾과 망심妄心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망심’이란 자신이 노력한 것보다 바람이 더 큰 탐욕을 말한다. 우리는 간혹 부질없는 행운(?)을 바라면서 짧은 시간이지만 그 순간의 행복한 생각에 빠져 흐뭇해하며 잠시나마 자신을 위안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 냉정한 결과에는 못내 아쉽고, 서운해하기도 하는 것이 사람들의 일반적인 삶이 보여 주는 한 단면이기도 하다.
천뢰무망괘天雷无妄卦
①건괘(☰하늘)가 위에 있고 진괘(☳우뢰)가 아래에 있다. 우레가 아래에서 위의 하늘의 덕을 우러러보고 힘차게 움직여 나가는 상이다.
②하늘의 에너지로 생명의 기운이 솟고 함께 움직이며 반응하니 세상사가 아무런 탈 없이 자연스레 흘러가는 모습이다.
③강한 힘(건괘)이 밖(상괘)에서 든든하게 버티고 역동적인 일(진괘)들이 안(하괘)에서 생겨나니 큰일을 이루어 나간다.
「주역」은 군자가 나아가야 할 바를 밝히고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경전이다. 과거 우리의 선조들도 무망지심을 가지고 매사를 진실한 마음가짐으로 성인지도를 실천하는 것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았다. 이러한 사례를 조선조 「숙종실록肅宗實錄」(권 제32, 6장~7장)의 내용에서 찾을 수 있다. 호조 참의 이광적이 올린 상소문의 대략을 살펴보면, “원컨대 전하께서는 무망의 상象인 ‘하늘 아래에서 천둥이 치는 형상’을 본받고 선왕이 때에 맞추어 만물을 기르는 덕을 스승으로 삼아, 마음을 보존하고 사물에 응해서 진실하고 거짓이 없게 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지성스럽고 거짓이 없게 하소서.(願殿下 體无妄 天下雷行之象 師先王對時育物之德 存心應物 眞實無妄 終始惟一 至誠无妄)”라고 하여, 하늘의 뜻에 따라 무망지심으로 만물을 기르는 이치를 따르면서 왕도정치를 행하라고 간곡히 권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에서도 우리 선조들이 무망지심을 얼마나 소중한 덕목으로 삼았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망지심은 지극히 성실하고 참된 것을 말한다. 중국 송나라의 철학자인 정이천程伊川은 『역전易傳』에서 “무망이라는 것은 지성至誠이며, 지성은 하늘의 도道이다.(无妄者, 至誠也, 至誠者, 天之道也)”라고 하였다. 이것은 무망이 지극한 믿음과 정성을 의미하는 지성과 같은 말이라는 것이다. 『중용』에서도 ‘성誠은 하늘의 도’라고 하여 무망지심과 천도와의 연관성을 밝히고 있다.
‘인간의 본성이란 본래 선한 것인데 오죽하면 무례를 범하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모두 인간의 과도한 욕심에서 오는 망심 때문이지 않겠는가? 결국 망심은 자신을 황폐화시키고 나아가 세상마저 메마르게 한다는 것이다.
「주역」에서는 원형이정元亨利貞의 천도를 행함으로써 무망지심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바른 길이 아니고, 망심으로 나아가면 재앙이 따르고, 이로운 바가 없다.(其匪正有眚, 不利有攸往)’고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이 말은 우리 모두에게 의미 있는 삶을 위해서는 거짓과 욕심을 버리고 진실 무망한 바른 길로 나아가라고 하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망심이 없어도 때로는 생각지도 않는 마음의 병에 걸릴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그 병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과 같이 한동안 병같이 보일 뿐 정말 병은 아니라고 한다. 그러므로 무망의 병에는 절대로 약을 쓰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즉 약으로써 치유될 육신의 병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일 약을 쓰는 것은 하늘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런 까닭에 「주역」에서는 ‘하늘의 능력을 시험하지 말아야 한다.(无妄之藥 不可試也)’라고 말한다.
때에 따라 밭을 갈고, 김을 매면서 수확을 바라지 않아야 무망지심이라고 한다. 이러한 무망지심의 결과로 ‘1년도 안 묵힌 밭에서 3년 묵은 밭처럼 수확을 얻을 수 있다.(불경확不耕穫, 불치不菑 여즉이유유왕畬則利有攸往)’라고 말한다. 그러므로 밭을 갈지 않아도 수확한다는 것이 무망지심의 결과이다. 즉 부富하지 않으려 해도 부富가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무망지심이면 가만히 있어도 이루어진다고 한다. 이것은 욕심을 버리고 진실한 마음으로 매사의 일에 임하면 그 결과에 감사할 수 있고, 그 수확이 더 크게 보이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어찌 농사를 짓지 않았는데 3년 묵은 새밭처럼 수확이 나오겠는가. 이것이 개인적으로는 작은 것에 만족하면 행복을 얻는다는 길목이 아닌가 한다.
결국 무망지심이란 진실로 자연(바다가, 땅이)이 허락하는 만큼 수확하게 됨에 감사하며, 그 결과에 대해 겸허하고 사심 없이 순종하는 순박한 농심農心이요, 어부의 마음이 무망지심이 아닌가 한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