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칼럼 | 하늘의 뜻을 자각한 자가 가장 많이 가진 것이다(김재홍)
[철학산책]
김재홍(충남대 철학과 교수) / STB상생방송 <소통의 인문학, 주역> 강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 취득(중국철학 전공, 세부전공 : 주역과 정역). 충남대학교 역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역임, 목원대, 배재대, 청운대 외래교수 역임하였고,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 중이다. STB상생방송에서 〈주역 계사상·하편〉 강의를 완강하였고 현재 <〈소통의 인문학 주역〉을 강의, 방송 중이다.
우리는 살면서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진정 많이 가진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혼란과 의구심을 가지곤 한다. 또한 물질적인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면서도 돈과 물질의 현실적인 제약 앞에 가끔 무력해지고 좌절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진정 많이 가진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돈인가? 권력인가? 물리적인 힘인가? 진리인가? 이에 대해서 구체적인 대답을 던져 주고 있는 것이 화천대유괘火天大有卦()이다.
화천대유괘火天大有卦
①상괘上卦는 진리와 태양을 상징하는 화火(☲)이고, 하괘下卦는 하늘인 천天(☰)이다. 즉 하늘 위에 있는 진리를 자각한 것이 크게 가진 것이라는 것이다. 큰 것이란 하늘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②음효는 오효의 성인聖人의 자리에 있다. 다섯 양효 모두가 성인의 자리에 있는 육오六五인 음효를 우러러 받들고 있다. 육오六五가 가지고 있는 것은 성대하고 풍성하다.
③대유괘의 상괘인 불의 괘상(☲)을 보면 중앙이 음효로 공허하다. 이것은 마음이 비어 한 점의 사심이 없는 것을 말한다. 사심이 없으면 진실한 믿음으로 진리를 쉽게 받아들일 수가 있다는 것이다.
「괘사」에서는 “크게 가지면 크게 통하니라.”라고 말한다. 대유괘는 하늘 위에 밝은 태양, 진리가 있는 상象이다. 크게 형통한 이유를 “육오六五 효가 성인의 자리에서 중中을 얻는 것이 크게 가진 것이요, 그 덕을 하늘의 강건함과 밝은 문체로 행하니 하늘이 응하고, 그때의 시의성에 마땅함이라 크게 형통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실천적인 덕목으로 “불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대유이니, 군자는 이것을 보고 깨달아 실생활에서 악을 막고, 선을 드러내어 하늘의 명을 아름답게 따르라.”고 말한다. 이 말은 군자는 대유의 상을 보고 이것을 본받아 선악을 잘 보고 구별해서 악인惡人에게는 벌로서 악행을 막고, 선인善人에게는 상賞을 표창하여 하늘의 아름다운 명에 순응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대유의 처음인 초구효初九爻는 아직 성대하지 못한 때이다. 위에 응효應爻도 없고, 이웃으로 도와줄 비효比爻도 없으니 그야말로 고립무원이다. 여기에는 자기 몸을 해칠 만한 일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장점과 더불어 협조와 조언을 얻을 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다.
자기 몸을 해롭게 하는 것은 교만과 사치 그리고 태만이다. 그러므로 대유의 시대를 만나 항상 세상의 어려움을 생각하며, 교만하거나 사치에 흐르는 일 없이 삼가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처음에는 항상 어려움을 생각하며 언행을 삼갈 것을 조심스럽게 말하고 있다.
구이九二는 양효로서 음陰의 자리에 있으며, 하괘의 중앙에 있고 육오六五 음효와 서로 응하고 있다. 즉 강건한 재능과 유순중정柔順中正으로 겸손하며 지나치지 않는다. 그리고 육오六五 성인의 신임을 받고 있다. 육오六五 성인은 이 구이九二 군자를 믿고 크게 씀으로 성인군자의 합덕, 천인합일을 통해서 대유의 도가 이루어지게 된다.
구이九二 군자가 지고 있는 짐은 크다. 견고한 수레에 실은 짐과 같이 무겁고 많다는 것이다. 그러나 구이九二가 이 무거운 짐을 하늘 위에 있는 밝은 진리로써 감당하며 천하 대사를 처리한다면 나무랄 만한 잘못은 없게 된다는 것이다.
큰 수레는 성인지도를 상징하는 나무(목도木道)로 만들었다. 그러므로 수레가 견고하여 많은 것을 실어도 넘어지거나 부서지지 않는다. 이것은 구이九二가 강중지덕剛中之德이 있으므로 대유의 무거운 짐을 감당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구삼九三은 인사적으로는 제후의 자리이다. 구삼九三의 자리는 원래 종일토록 굳세게 노력하고 저녁에 삼가면 허물이 없는 자리이다. 항상 성인에게 충성을 다하며, 하늘 위에 있는 밝은 진리를 삼가고 두려워하면 덕이 있는 군자가 된다. 그 결과 응효의 관계에 있는 오효五爻 성인은 이를 가상히 여겨 구이九二 군자에게 향연의 예를 내리신다. 그러나 구삼九三이 만약 군자가 아니고, 소인이면 제후의 자리를 지킬 수 없으며, 성인로부터 향연을 받지 못하고 도리어 화를 입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제후가 소인배라면 탐욕 때문에 반드시 나라를 어지럽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유괘의 육효六爻를 보면 구삼九三의 제후는 강명剛明하고 바른 덕을 가진 사람이며, 육오六五 성인은 유순하며 마음을 비우고 구삼九三 현인을 잘 대접함으로써 상호 신뢰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만약 소인이면 엉뚱한 것을 성인에게 바치거나, 역적모의를 해서 나라를 망치고 천하를 어지럽게 한다. 그러므로 소인의 마음으로 하늘에 제사를 드릴 수가 없다는 것이다. 하늘은 그러한 제사를 받아 주시지 않는다.
구사九四는 대유의 성대한 때에 대신大臣의 자리에 있다. 육오六五 성인과 서로 친할 수 있어서 육오六五 성인의 신임을 받고 있다. 양효로 강강剛强하지만 자리가 음陰으로 유순하다. 그리고 상괘의 아래에 있으므로 지나치는 일이 없다. 밝음을 나타내는 이괘離卦의 한 효이므로 지혜가 밝다. 그러나 구사효九四爻는 강강 총명한 성질로서 군주를 가까이 모셔야 한다.
그러므로 항상 언행을 사려 깊게 해야 한다. 자신을 지나치게 성대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은 먼저, 자기의 권력을 지나치게 쓰지 않도록 하며, 임금보다 한 발 뒤로 물러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자신의 세력을 만들지 않고 맡은 바의 직분을 잘 수행하여 허물이 없게 된다. 고급 관리인 구사九四는 자칫 잘못하면 임금을 넘볼 수 있는 자리에 있지만 신하로서 분수를 지키며, 권력을 남용하지 않고, 항상 겸손하게 근신한다면 나무랄 만한 잘못이 없게 된다. 즉 군자유종이다. 내가 죽어야 임금이 살고, 공자, 석가, 예수가 산다.
성인이 진심으로 군자를 믿으니, 군자도 이에 감응해서 성인에게 진심을 다하여 서로의 진심이 사귀게 된다. 달리 말하면 군자가 진심으로 성인을 섬기니 천하의 많은 사람들도 다 같이 진심으로 성인을 따르게 된다. 대유괘에서는 진실한 마음으로 믿음을 가지고 천명에 순종해야 하늘로부터 도움을 받아 길하며, 어떤 경우에도 복을 받는다는 것이다. 큰 길함을 얻는 것은 하늘에 순응하고 시의성에 맞게 행함으로써 크게 형통하다.
화천대유괘를 통해 바라본 대유(크게 가짐)하기 위한 조건
①진리가 아닌 소인지도와는 사귀지 말아야 하며,②사심을 버리고 진리 앞에 겸손하며,
③중정지덕을 쌓아야 한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