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제주濟州 고髙씨
[한국의 성씨]
우리나라의 고씨
고씨는 두 계통이 있다. 대부분의 고씨는 고을라를 시조로 삼고 있는 ‘제주 고씨’ 계통이고, 그 외에는 고구려 동명성왕을 시조로 하는 고구려 계통의 ‘횡성 고씨’이다. 두 성씨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성씨다. 제주 고씨에서 분적한 횡성 고씨가 있어 일반적으로 횡성 고씨(고구려 계통)는 한자를 고高 자로, 제주 고씨가 고髙 자를 써서 서로 구별한다. 제주 고씨 계통은 제주가 대종大宗이며 장흥長興, 개성開城, 연안延安, 용담龍潭, 담양潭陽, 의령宜寧, 고봉高峰, 옥구沃溝, 상당上黨(청주), 김화金化, 토산兎山, 회령會寧, 안동安東 등 10여 본이 문헌에 전한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제주 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어 하나로 합본되어 파로 불리고 있다. 예를 들어, 장흥을 본관으로 하는 장흥 고씨는 제주 고씨 장흥백파로 명명하고 있는 것이다.

시조 고을라髙乙羅와 삼성혈 전설
제주 고씨는 고을라髙乙羅를 시조로 한다. 시조의 탄생에 대해 제주도에는 삼성혈三姓穴 전설이 유명하다. 동국여지승람과 고려사에 의하면 오늘날 제주도인 탐라국에는 처음에는 만물과 사람이 없었는데 삼신인三神人 즉 고을라高乙那·부을라夫乙那·양을라良乙那가 한라산 북쪽에서 솟아나왔다고 한다. 고려사에 “...이들 3신은 수렵을 하며 살았는데 어느 날 동쪽 바다에 자주색 흙으로 봉한 나무 궤짝이 떠 내려와 건져 열어보니 일본국日本國에서 왔다는 푸른 띠를 맨 사자使者가 푸른 옷을 입은 아름다운 세 공주를 데리고 나왔다. 3신인이 각각 이 공주들과 혼인하고 이들이 가지고 온 오곡五穀 종자의 씨앗과 송아지, 망아지로 목축과 농사를 짓기 시작하여 탐라국의 지배씨족이 되어 태평성대를 이루며 살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도 제주도에서는 이들 세 신인이 솟아났다는 삼성혈과 나무 궤짝이 발견된 황루알 해안, 세 공주와 혼인한 혼인지婚姻池, 활을 쏘아 영지를 나눴다는 삼사석三射石 등이 남아 있다.

탐라의 역사
탐라국耽羅國은 제주도에 세워진 고대 왕국으로써 삼국시대에는 구한九韓 중 네 번째 되는 나라로 불릴 만큼 번성하였다. 「영주지瀛洲誌」에 탐라의 개국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삼신인이 인간세계를 이루고 9백년이 지난 뒤에 인심이 고씨髙氏에게 모아지니 임금이 되어 탁라국乇羅國을 세웠다(厥後九伯年之後 人心咸歸髙氏 以髙爲君國號乇羅)’이로 볼 때 처음 삼성의 씨족 사회에서 집단이 점점 커지면서 나라를 세울 때 고씨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탐라의 건국연대에 관하여는 시조 고을나왕髙乙那王이 인간세계를 이룩한 후 9백년이 지났다고 하였을 뿐 확실한 연대를 알 수 없다. 「탐라국왕세기耽羅國王世紀」에 의하면 기원전 2337년경에 탐라국을 건국하였다 한다.

제주도의 고씨 유적들 (사진 부철용)

삼신인이 솟아나왔다는 삼성혈은 세 구멍이 품品자 형으로 나열되어있다. 모흥혈毛興穴이라고도 한다. 그 중 하나는 둘레가 6자, 깊이는 바다까지 통한다고 하며 나머지 둘은 둘레가 각 3자이나 세월이 지남에 따라 지금은 흔적만 남았다. 상혈은 고을나, 좌혈은 양을나, 우혈은 부을나로 전하고 있다. 제례는 고·양·부 3성의 후손들이 매년 양력 4월 10일에 춘제春祭, 10월 10일에 추제秋祭를 삼성전에서 지내는데 헌관은 3성이 돌아가며 맡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 4호(지정:1971년 8월 26일)
벽랑국의 세 공주를 배필로 맞이한 삼신인이 한라산 북쪽 기슭 쌀손장오리(矢射岳)에서 활을 쏘아 거처할 터전을 정할 때 그 화살이 꽂혔던 돌이 바로 삼사석이다. 지금도 삼사석에는 살(矢)을 맞은 흔적이 남아 있어 삼신인의 체취가 묻어나는 듯하다. 삼사석은 직경 55cm 내외의 현무암 2개로 되어 있고, 이를 보호하는 석각은 영조 11년(1735) 제주인 양창종이 지었으며 석실 높이 149cm, 앞뒤 너비 101cm, 옆좌우 너비 67cm 규모이며 비는 높이 113cm, 너비 43cm, 두께 18cm이다.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7호(지정:.1971년 8월 26일)
삼성혈에서 나온 삼신인이 수렵생활을 하며 지내다가 동쪽나라에서 온 세 공주와 합동혼례를 올렸다는 조그마한 연못. 얕고 작기만한 연못에 불과하지만 삼신인이 이곳에서 혼례를 올림으로써 비로소 제주민이 늘어나고 농사를 짓기 시작한 계기가 되었다. 혼인지 바로 옆에는 혼례를 올린 후 신방을 차렸던 조그만 굴이 있는데 그 굴이 세 갈래로 되어 있어 순전히 전설인 것만은 아닌 듯한 기분이 든다.

당시 세 공주가 담긴 목함이 발견된 곳은 속칭 ‘쾌성개’이며 도착한 해안은 ‘황노알’이라 하는데 현재 이 해안에는 ‘연혼포延婚浦’란 작은 비석이 세워져 있다. 황노알은 삼선녀가 상륙하던 무렵의 ‘황금빛 노을’을 뜻한다고 한다.
성씨의 변천과정
중시조 고말로髙末老
고말로는 시조 고을나의 46세손이며 탐라의 마지막 군주인 45세 고자수髙自堅왕의 태자太子이다. 천성이 고결高潔하고 영민靈敏하여 덕망이 높았다고 한다. 935년에 태조 왕건이 신라와 후백제를 정복한 다음 그 여세로서 탐라국도 강제로 예속隸屬하려 하였다. 고자수는 사신을 보내 화친을 꾀하려 했으나 대세에 눌리어 굴복하고 말았으니 938년에 태자太子인 공을 고려에 입조入朝케 하였다. 이에 고려 태조는 탐라국의 오랜 왕통을 존중히 여겨 접대하는 범절을 임금과 같게 하여 각별히 예우禮遇하고 공에게 성주星主, 왕자王子의 작호를 제수除授하였으며 그 작위를 대대로 직계直系 후손後孫에게 세습케 하였다(太祖 二十一年 冬十二月 眈羅國太子 末老來朝 賜 星主, 王子 爵-「고려사」). 고려 태조는 탐라국의 지리적, 역사적 특수성을 참작하여 왕의 칭호 대신 성주라 칭하게 하였을 뿐 계속 자치국自治國으로 인정하였다. 이로부터 말로가 탐라의 제1대 성주가 되어 다스렸다. 탐라는 오랜 왕치국王治國으로 내려오는 동안 신라, 고구려, 백제, 당, 일본 등 제국과 교역交易이 빈번하여짐에 따라 도읍지都邑地인 칠성대촌七星大村(지금의 제주시)은 탐라국의 관문이며 중심지로서 자연히 번성해졌다. 말로는 탐라성주眈羅星主로서 토산물의 생산을 장려하고 고려와 교빙交聘하는 한편 송宋, 일본 등과 교역하였다. 그후 목종穆宗 때인 1002년(임인壬寅)과 1007년(정미丁未) 두 차례에 걸쳐서 탐라의 화산폭발로 5, 6일 동안이나 한라산 용암이 분출하고 운무雲霧가 하늘을 가리워 밤과 같았으며 지동地動은 우뢰와 같았다. 이때 해중海中에서 비양도飛揚島와 군산軍山이 솟아 나왔다. 이때 목종은 태학 박사인 전공지田拱之를 탐라에 보내어 화산폭발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피해 상황과 해중에서 새로 솟아난 섬들의 지형도를 그려 조사케 하였다. 현종顯宗 2년(1011)에 공은 고려 왕으로부터 주기朱記(주인朱印)를 받아 이를 성주 직분의 증표證票로 삼았다고 한다. 탐라는 섬나라로서 일찍이 배를 만들고 다루는 기술이 발달하였고 한라산에는 재목이 풍부하였으므로 다음 해 대선大船 1척을 만들어 고려에 보냈다. 현종 10년(1019)에 공은 수행원을 대동하고 송宋, 흑수국黑水國 사신과 함께 고려 개경에 입경하여 왕궁에서 베푼 연회에 참석하였다. 그후 현종 13년(1022)에 공은 노쇠한 몸이 되니 셋째 아들인 소紹를 사자와 함께 고려에 보내어 방물方物을 바쳤다. 말로에게는 고유高維·고강高綱·고소高紹 등 세 아들이 있었는데, 이들 모두가 등과登科함으로써 가문이 번창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특히 장자 고유는 고려 문종 때 우복야右僕射에 올라 고려에 벼슬한 최초의 탐라인이 되었다. 이후로 고려시대에 제주 고씨에서는 9상서尙書, 12한림翰林을 배출하였다. 장남 유維가 성주작星主爵을 계승하였다. 말로가 탐라국 태자로서 처음으로 고려에 입조하여 성주작星主爵을 받았으므로 그를 제주 고씨濟州髙氏의 중시조 일세一世로 삼고 있다.
제주 고씨는 고말로의 증손인 고영신髙令臣 때부터 20여 파로 나뉜다. 제주고씨 영곡공파靈谷公派, 장흥 고씨 장흥백파長興伯派, 옥구 고씨 문충공파文忠公派, 개성 고씨 양경공파良敬公派, 청주 고씨 상당군파上黨君派, 제주 고씨 성주공파星主公派, 제주 고씨 전서공파典書公派, 횡성 고씨 화전군파花田君派 등이 있다. 그중 영곡공파 후손이 가장 많아 오늘날 제주 고씨의 5분의 1을 차지한다.
조선 초기의 인물로는 고득종高得宗이 있다. 그는 세종 9년 문과에 급제하고 예조참의禮曺參議, 한성판윤漢城判尹,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는데, 명나라에 두 차례, 일본에 한 차례 사신으로 다녀오는 등 외교에 활약이 많았다. 제주의 향교를 중심으로 유학 진흥에도 큰 공적을 남겼다. 사후 문충공文忠公의 시호가 내려졌다. 고태필高台弼, 고태정高台鼎, 고태보高台輔, 고태익高台翼 등 네 아들이 모두 문과에 급제, 전성시대를 누렸다. 고태필은 문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전라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겸 황해도관찰사를 지내고 첨지중추부사, 한성부좌윤에 이르렀다.
고려高呂는 여말선초 이성계 휘하에서 조선 개국에 참여,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된 인물로 고성부원군高城府院君에 봉해졌다. 이성계가 역성혁명을 달성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정적을 숙청한 포은 정몽주 살해에 행동대로 직접 가담하였다.
고형산高荊山은 연산군 때 해주목사와 병마절도사를 거쳐 중종반정 후에는 형조, 호조, 병조판서를 두루 역임한 뒤 우찬성에 올랐다. 고희高曦는 선조 17년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 군기주부軍器主簿, 도총경력都摠經歷, 훈련판관訓練判官, 군기첨정軍器僉正 및 여러 지방 군수, 부사를 역임한 후 가선대부에 이르렀다.

제주 고씨는 조선시대에 문과에 56명, 무과에 81명, 사마시에 56명, 역과에 38명, 의과에 6명, 음양과에 2명, 율과에 9명 등 총 227명의 과거급제자를 배출하였다.
제주 고씨 근현대 인물
구한말 고석진은 면암 최익현의 수제자였으며,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고영근은 명성황후의 살해에 가담했던 훈련대 2대대장 우범선을 일본까지 추적하여 목을 베었다. 고유섭은 일제 시기에 미술사 분야를 연구하여 학문으로 끌어올린 학자이다. 고복수는 울산 출신 가수이며, 걸레스님 중광(본명 고창률)은 불교에 입문했으나 기행으로 승적을 박탈당했다. 하지만 불교화의 영역에서 파격적인 필치로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하였다.
행정의 달인으로 유명한 고건 전 총리도 제주 고씨이다. 그는 서울 종로에서 철학자이자 서울대 교수였던 고형곤씨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박정희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 때까지 7명의 대통령이 바뀌는 동안 도지사, 청와대 수석, 각부 장관, 총리, 국회의원, 민선 서울시장을 두루 역임했다. 특히 4번의 장관, 2번의 민선 서울시장, 2번의 총리를 역임하고 대통령 탄핵에 따른 대통령 권한 직무대행까지 맡았다. 그로 인해 사회에서는 그를 ‘행정의 달인’으로 평하기도 한다.

제주 고씨 후손 인터뷰
제주도에 살고 있는 고영호 성도님(56세)은 제주 고씨로 시조 고을라의 78세손(영곡공파)이라고 한다. 제주 고씨의 전반적인 내용에 대해 인터뷰를 해 보았다.Q. 제주도에 제주 고씨는 몇 명이나 살고 있나?
약 5만 명으로 알고 있다.
Q. 제주 고씨가 탐라국의 성주였다. 탐라국은 언제 망했나?
조선의 태종 이방원이 중앙집권을 부르짖으면서 사병을 철폐했다. 그때 탐라국왕이 폐위되면서 평민으로 돌아갔다. 그때 탐라국이 완전히 망한 것이다.
Q. 가문에서는 시조에 대한 전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나?
사람이 혈에서 나오기는 만무하고 그것은 후대 사람들이 신격화 시키면서 지어낸 이야기일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고을라, 부을라, 양을라 세 사람이 한 부모 밑에서 나온 형제로 각각의 이름 첫 자가 나중에 성으로 되었다고 본다.
Q. 세 공주가 왔다는 벽랑국은 어느 나라?
시조 할머니가 온 곳인데 자세히 어느 곳인지는 모른다. 신라나 백제 아니면 큐루시오 해류를 따라 남쪽에서 올라오지 않았나 생각한다. 우리 가문에서도 그건 잘 모른다.
김동익, 『한국성씨대백과 성씨의 고향』, 중앙일보사, 1989
김태혁, 『한민족 성씨의 역사』, 보문서원, 2015
〈참고사이트〉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http://blog.naver.com/tlfdksro7)
성씨 정보(http://www.surname.info)
뿌리를 찾아서(http://www.rootsinfo.co.kr)
제주 고씨 홈페이지(http://www.jejugo.co.kr)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