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 중동의 화약고 시리아 / 튀니지 국민4자기구 노벨평화상 수상
[지구촌개벽뉴스]
미 중심 서방에 이어 러시아 가세
점점 달궈지는 중동의 화약고火藥庫 시리아
지난 10월 7일 카스피해에 있던 러시아 군함 4척이 26발의 순항미사일을 발사했다. 미사일은 이란 이라크 영공을 지나 1500㎞ 떨어진 시리아Syria에 떨어졌다. 지난달 30일 IS 격퇴를 명분으로 시리아 내전에 뛰어든 러시아가 일주일 만에 해군까지 동원해 공격 수위를 높인 것이다. 러시아는 직후 “이슬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 IS가 목표물”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북대서양 조약기구 나토는 러시아가 IS가 아닌 반군들에게 공습을 가하고 순항 미사일까지 발사했다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또 러시아 전투기들이 나토 동맹국인 터키의 영공을 침범한 것도 문제 삼았다. 같은 시각 러시아의 공습 지원을 받은 시리아 정부군은 반군에 대해 대대적인 반격을 시작했다. 이 군사작전에는 이란의 군사 고문도 참여했다. 이날 이라크 의회 국방, 안보위원회 하킴 알자밀리 위원장은 “(이라크 내) IS 격퇴를 위해 러시아에 곧 공습을 요청할지 모른다”고 밝혔다. 러시아가 시리아에 이어 이라크에도 개입할 수 있는 명분이 만들어진 셈이다.
러시아의 중동 개입은 경제 외교적 영향력 확대를 위한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포석이다. 올해 미국과 석유수출국기구(OPEC)가 벌인 ‘유가油價 전쟁’으로 기름값이 폭락하면서, 석유산업이 주력인 러시아는 큰 경제적 타격을 받았다. 미국 석유산업 전문 매체인 오일프라이스닷컴OilPrice.com은 “러시아가 이란 이라크와 연대해 저유가를 주도한 사우디아라비아를 석유수출국기구OPEC에서 고립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러시아는 또 지난해 ‘크림반도 합병’ 등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서방의 제재로 인한 경제 외교적 고립의 탈출구로 중국과 함께 중동을 염두에 두고 있다. 푸틴은 올해 초 이집트를 10년 만에 직접 방문하는 등 중동에서 외교적 행보도 가속하고 있다. 중동에서 러시아와 서방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이란이 반군 공격을 위한 지상군 선발대를 시리아에 보냈다는 보도가 나왔다. 레바논 언론에서도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가 시리아 북부에서 반군을 상대로 한 대규모 지상공격에 곧 참여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시리아 내전의 판이 점점 커지며 국제전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
재스민 혁명 후 민주주의 구축에 기여
‘국민 4자 기구’ 노벨 평화상 수상
지난 10월 9일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오슬로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튀니지Tunisia의 민주화를 위한 국민 통합 기구인 ‘국민 4자 대화 기구(Tunisian National Dialogue Quartet)’를 올해의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노벨위원회는 “이 단체는 2011년 ‘재스민 혁명’ 이후 튀니지의 다원적 민주주의 구축에 결정적 공헌을 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2013년 10월 설립된 ‘국민 4자 대화 기구’는 하나의 조직이라기보다는 튀니지의 평화와 민주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 4개 시민사회의 협의체다. 4자에는 노동계를 대표하는 튀니지 총노조(UGTT), 산업계를 대표하는 튀니지 산업 무역 수공업 연맹(UTICA), 시민운동을 대표하는 튀니지 인권 연맹(LTDH), 법조계를 대표하는 튀니지 변호사회(ONAT)가 포함돼 있다.

튀니지 총노조의 하우신 아바시 사무총장이 “이번 수상은 튀니지에 대단한 기쁨이자 자랑인 동시에, 아랍 국가에 대한 희망을 준다”고 평가했다. 또 “이번 수상은 대화의 힘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기를 버리고 협상 테이블에서 대화하라는 강력한 메시지라는 것이다. ‘국민 4자 대화기구’에 속한 모크타르 트리피 변호사는 “아랍에서도 민주주의와 인권보호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것에 대한 보상”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카시 쿨만 피베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이번 노벨평화상이 튀니지 국민에게 통합을 위한 용기를 주고, 주변국에는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평화적 협상과 타협만이 국가를 위하는 최선의 길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시상식은 노벨상 창시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인 오는 12월 10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다. 수상자에게는 800만 크로네(약 11억 3000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