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해주 오吳씨

[한국의 성씨]

우리나라 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86년 성종 때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277성으로 나와 있다. 일제 강점기인 1930년에는 250성으로 조사되었고 1960년 조사에서는 258성이었다. 가장 최근의 조사인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286개의 성과 4179개의 본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 중에서 해주 오씨는 성씨 별 인구 순위에서 422,735명으로 안동 김씨에 이어 19위로 조사됐다.


해주 오씨의 기원


도래인 오첨 해주 오씨와 그에서 분파된 오씨 대부분이 오첨吳瞻을 시조로 하고 있다. 오첨은 중국으로부터 신라 지증왕 원년(500년)에 신라로 들어와 해남 땅에 이르렀는데 당시 첨사僉使 이상보가 재화와 보물을 빼앗아 숨겼다. 후에 그 사실이 들통나 외국사람이 경내에 들어온 것을 보고하지 않은 죄로 첨사 이상보는 목을 베이고 오첨은 신라에 머무르게 하였다고 한다. 뒤에 왕명으로 함양 김종지金宗之의 딸과 혼인하여 2남 1녀를 낳고 함양에 정착하였다. 오첨은 22년 동안 살다가 태봉의 궁예弓裔 때 후한後漢의 왕이 당唐나라 사람을 쇄환刷還하여 돌아가게 되었을 때 큰 아들을 데리고 중국으로 돌아간다. 이 때 둘째 아들 응膺이 너무 어려 미처 따라가지 못하고 그대로 우리나라에 남게 되었다. 이후 오응의 12대손 광우光佑가 중국에 들어갔는데, 그의 현손 연총延寵이 문종 때 다시 고려에 건너와 정착했다. 그래서 오연총은 오씨의 중시조가 된다.

중국 오씨의 기원 중국 오씨의 시조는 주태왕周太王 고공단보의 장남인 태백泰伯이라고 한다. 고공단보에게 아들이 셋이 있었는데 장자가 태백泰伯, 차자가 중옹仲雍이고 막내가 계력季歷이었다. 계력이 아들 창昌을 낳으니 이분이 후일後日 주문왕周文王이다. 태왕은 창昌이 성덕聖德이 있음을 알고 전위傳位하려하나 태백과 중옹이 있어 말을 못하였더니 태백이 부친의 뜻을 알고 아우 중옹과 함께 멀리 장강長江(양자강)을 건너 형만荊巒에 살았으니 지금의 강소성江蘇省 오현吳縣이다. 태백이 머리를 기르고 문신을 하여 지역의 풍속을 바꾸고 자호自號를 구오句吳라고 하였는데 그곳 사람들이 그를 의인義人이라 하여 따르며 군장으로 옹립하였다. 그 지역 이름도 호를 따라 구오가 되었다. 태백에게는 후사後嗣가 없어 동생 중옹이 대를 이었다. 주나라는 계력의 손자 무왕이 상나라를 멸하고 천하를 통일하였다. 그 때 주무왕은 중옹의 증손자 주장周章이 구오 지역을 다스리고 있음을 알고 그를 오국吳國에 봉하고 태백을 오백吳伯으로 추봉追封하였다. 이 때부터 오나라는 주나라의 제후국이 되었다. 오국시대吳國時代는 희씨姬氏로 고소姑蘇에 도읍하였으니 그 고소姑蘇는 지금의 소주蘇州이다. 그 후 BC 473년 월왕 구천에게 멸망되니 25대 759년이며 그 자손들이 국호로서 성씨를 삼았다고 한다[吳後爲越所滅子孫國號爲姓氏]. 부차 왕의 손자 루양鏤羊이 위후衛候에게서 오의 사성賜姓을 받았다하여 득성시조가 되었다는 설과 루양의 손자 오기吳起에게서부터 오씨를 사용했다는 설이 있다. 중국에는 오나라뿐 아니라 초나라에도 오씨가 있는 등, 3가지 계통의 오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의 중화 오씨 대종회에서는 태백을 득성시조로 중옹을 대를 이은 시조로 받들고 있다. 해주 오씨 대동종회에 따르면 태백의 25세손이 오기★이고, 오기의 45세손이 오첨이라고 한다.

★오기는 전국시대 초기 위衛나라 사람으로 대략 기원전 440년에 태어나 기원전 381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일찍이 노魯·위魏·초楚에서 벼슬하면서 많은 공을 세우고 남다른 업적을 남겼다. 손자와 함께 유명한 군사 전략가이다.


성씨의 변천과정


우리나라 오씨는 「조선씨족통보」에 210본까지 기록되어 있으나 「동국만성보」에는 해주海州·보성寶城·동복同福·고창高敞·나주羅州·함양咸陽·군위軍威·낙안樂安·금성錦城·장흥長興·함평咸平 등을 비롯하여 20본이 전한다. 오늘날 오씨는 해주오씨, 보성오씨, 동복오씨의 3본이 전체 오씨 인구(706,900명)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오씨대동보吳氏大同譜』에 의하면 울산·낙안·고창·함평·나주·평해는 해주오씨에서, 군위는 동복오씨에서, 장흥·두원·화순·함양은 보성오씨에서 분적했다고 한다. 해주오씨에는 두 파가 있다. 하나는 신라 지증왕 때 도래한 오첨을 도시조로 삼는 향파鄕派이고 또 하나는 고려 성종 때 중국에서 건너 온 오인유를 시조로 삼는 경파京派이다.

해주 오씨의 향파 해주오씨의 시조 오현보吳賢輔는 오씨吳氏의 도시조都始祖인 오첨의 24세손이자, 오씨 중시조인 문양공 오연총의 6세손으로 오수권吳守權의 아들이다. 첨의 11세손 다련군 오희吳禧가 나주에 살며 3남 1녀를 두었는데 장남은 금성백錦城伯 차남은 수양백首陽伯 삼남은 천령백天領伯으로 봉해졌고 딸 장화왕후壯和王后는 고려 태조의 왕후로서 혜종의 어머니이다. 오첨의 14세손 오광우吳光佑가 족질 우경과 980년에 송나라에 들어가 성도임앙(현 사천성 내)에 살았는데 그의 현손인 오연총吳延寵이 문종 때 다시 고려에 건너와 정착했다. 오연총은 윤관과 함께 부원수로 북변의 여진을 토벌하였으며, 이부, 예부, 병부상서를 역임하였다. 오연총의 5세손인 오수권吳守權은 오현보吳賢輔, 오현좌吳賢佐, 오현필吳賢弼이라는 세 아들을 두었다. 이들 삼형제는 고려를 침입해 온 거란군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워 각각 해주군海州君, 동복군同福君, 보성군寶城君에 봉해져, 해주오씨, 동복오씨, 보성오씨의 시조가 되었다. 해주군 현보는 1199년에 낭장郎將으로 명주민란을 진압하여 공을 세웠다. 그뒤 상장군에 올랐으며 1224년에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참지정사(종2품)로 졸卒하셨다.

해주 오씨 경파 중국 송나라의 학사로 이름이 높았던 오인유吳仁裕가 시조이다. 성종成宗은 고려로 건너온 그가 중국의 제도를 잘 알고 있음을 알고 특별히 진급시켜 군기감과 예부의 일을 맡겼다. 그은 성종7년(1001)에 임금에게 아뢰어 오묘五廟와 사직社稷, 그리고 다음해에는 태묘太廟와 국자감國子監(국립대학)을 세워서 새로운 문화와 국민교화에 힘썼다. 해주에 정착하였기에 후손들이 본관을 해주로 삼았다. 해주는 고구려 때는 내미홀內米忽이라 칭하였고 신라 때는 폭지瀑池라 고쳤다. 대대로 내미홀, 지성池城, 장지長池, 서해西海, 안서安西, 수양首陽으로도 불리웠다. 오인유의 7세 오연총吳延寵이 고려 예종 때 윤관尹瓘과 함께 여진족을 토벌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오인유의 후손은 7세를 전후로 20여개의 파로 나뉘었다. 8세 오반吳潘의 후손은 찬성공파贊成公派, 9세 오중수吳仲守의 후손은 사복시정공파司僕侍正公派, 9세 오희吳僖의 후손은 양정공파陽亭公派, 9세 오처권吳處權의 후손은 용강공파龍岡公派, 9세 오생운吳生韻의 후손은 생원공파生員公派를 이루었다. 이외에도 묘제공파墓齊公派, 지군사공파知郡事公派, 사복시랑공파司僕侍郞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사인공파舍人公派, 통덕랑공파通德郞公派, 장춘공파長春公派, 해성부원군파海城府院君派, 판도정랑공파版圖正郞公派, 징사공파徵士公派로 분파하였다. 그 이후 14세손 대에서 다시 여러 파로 분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오첨이 오씨의 도시조라는 것에 대해선 고증할 수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오첨과 오인유와는 어떤 관계인지 역사적 문헌이 불확실해 고증하기 힘들다. 현재까지 인유를 시조로 하는 해주 오씨와 현보를 시조로 하는 해주 오씨는 뿌리도 시조도 족보도 다르게 쓰고 있어 별개의 계통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주요 인물과 세거지 해주오씨는 인조반정을 고비로 중앙정계에 진출, 기라성같은 명현을 배출하면서 명문의 위치를 굳혔다. 특히 오정방吳定邦의 정무공파貞武公派와 오윤겸吳允謙의 추탄파楸灘派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다. 오정방은 인유의 14세손으로 1583년(선조 16) 무과에 장원급제하자 이이李珥가 인견引見하고 참으로 영재를 얻었다고 칭찬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흥지방에서 의병 수천인과 힘을 합쳐 많은 전공을 세웠다. 그 뒤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겸 부총관副摠管·포도대장捕盜大將·서북순변사西北巡邊使 등을 지냈으며, 1603년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품되었다. 이듬해 전라도병마절도사가 되고, 이어 경상우도병마절도사 겸 진주목사와 황해도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광해군 때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폐위를 적극 반대하다가 사직당하였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으로 다시 포도대장에 등용되었으며, 경상좌도병마절도사를 끝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오윤겸 역시 시조 인유의 14세손으로 당대의 거목이었다. 그는 선조 때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시강원문학侍講院文學 이조좌랑吏曹佐郞 부교리副校理 등을 역임하였다. 한때 스승인 성혼成渾이 모함을 받아 사직하기도 했으며 정인홍鄭仁弘을 탄핵하다가 좌천되기도 하였다. 광해군 9년에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로 회답사回答使가 되어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끌려간 포로 3백20여 명을 데리고 오는 활약을 보였다. 이때부터 일본과 국교가 재개되었다고 한다. 그후 폐모론廢母論을 반대하다가 탄핵받았고, 등극사登極使로서 명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인조반정후 서인이 분열될 때 노서老西의 영수가 되어 대사헌大司憲·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고 이괄의 난 때는 왕을 공주公州에 호종하였으며 정묘호란에는 왕세자와 함께 강화江華에 피난하였다. 돌아와서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는데, 인재등용을 공정히 하는 명재상으로 이름이 났다. 또 그의 조카 오달제吳達濟(인조, 부교리), 손자 오도일吳道一(숙종, 대제학·병조판서), 현손玄孫 오명항吳命恒(영조, 우의정) 등도 우뚝한 인재들이다. 오달재는 유명한 「병자척화삼학사丙子斥和三學士」의 한 사람으로 화해를 끝까지 반대하다 청군에 끌려가 윤집尹集, 홍익한洪翼漢 등과 함께 처형당했다.

집성촌은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덕봉리, 경기도 용인시 원삼면 죽능리·학일리, 충남 금산군 추부면, 충북 청주시 흥덕구 신대동, 충남 아산시 와산리·신달리, 전북 임실군 대정리·삼은리, 전북 순창군 쌍치면 용전리, 전북 정읍시 정우면 대사리, 전북 김제시 성덕면 석동리, 전북 군산시 성산면 둔덕리, 전남 곡성군 명산리·대사리, 경북 의성군 의성읍 도동리·도옥리·창길리·성암리, 경북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 경북 상주시 금흔리·간상리, 경남 의령군 지정면 태부리, 경남 창녕군 창녕읍 도야리,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동상리, 경남 창원시 동읍 용강리, 경남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 등이다. 특히 용인의 학일리 마을은 구봉산九峰山, 쌍엄산雙嚴山, 문수산文殊山이 감싸고 있는 산골마을로 입향조는 고려말 대호군大護軍을 지낸 오희보吳希保인데, 말년에 이 마을에 정착하여 3백여 호의 후손을 남겼다. 조선 인조조의 오윤겸, 오도일, 오명환 등도 이 마을에 뿌리를 두고 있고 오달제도 이 마을에서 태어났다 한다.

삼세오충렬사三世五忠烈祠
나라를 위해 순절한 해주오씨海州吳氏 오충신五忠臣을 모신 곳이다. 원래는 오응정吳應鼎과 그의 아들 욱稶과 직稷, 그리고 직의 아들 방언邦彦을 배향하여 사충사四忠祠라 하였으나 근년에 오응정의 아들 동량東亮을 추향하여 오충열사五忠烈祠라 부르고 있다.

오응정(1548∼1597)은 오인유의 15세손으로 전라도 용안현 출신이다. 자는 문중文中, 호는 완월당翫月堂이다. 조선 선조 7년(1574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에서 치적治積을 쌓던 중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순천부사겸총병부문안사順天府使兼總兵府問安使 전라도 우방어사全羅道右防禦使가 되어 어모장군禦侮將軍 욱, 동량과 더불어 남원성南原城 전투에 참전하여 분전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하게 되자 화약더미 속에서 세 부자가 장렬하게 순절하였다. 오응정의 차남 오직(1574∼1619)은 광해군 때 도원수都元帥 강홍립康弘立 막하의 우영천총右營千摠으로 요동 심하 전투에 출전하였으나 강홍립이 후금군에 항복하자 격분하여 부차富車에서 적과 싸우다 온몸에 화살을 맞고 전사하였다. 그의 아들 방언1588∼1637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적과 싸우다 인조가 삼전도 굴욕을 당하자 남한강에 투신자살하였다. 이들의 찬란한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조선 숙종 대에 용안에 충열사를 세우라는 하교(숙종 7년 1681)가 있었으나 기사사화己巳士禍(1689)로 중단되어 정려旌閭만이 쓸쓸히 자리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80년에 전라북도의 거도적인 사업으로 삼세오충열사의 복원사업을 벌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전북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에 위치하고 있다. (1982년 8월 30일에 전라북도 기념물 제61호로 지정)



해주 오씨 근현대 인물


구한말 국난이 닥치자, ‘삼세오충三世五忠’의 충혼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해주오씨 문중에서 수많은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의병장으로 오인수吳寅秀와 오상열吳相烈이 있다. 일신회와 고려혁명당을 조직, 무장항일운동을 벌이다 붙잡혀 옥사한 오동진吳東振이 있고,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인 오세창吳世昌과 그의 아버지이자 김옥균, 박영효 등을 지도하여 개화파를 형성한 오경석吳慶錫이 있고, 상해임시정부 의정원의원 등을 지낸 오익표1가 있다. 그 외 한국의학의 개척자였던 오긍선吳兢善 세브란스의전 교장이 있고, 괴짜 시인 공초空超 오상순吳相淳도 해주오씨 인물들이다.
해방 후에도 정관계의 오화영吳華英, 오성환吳晟煥, 오제도吳制道, 오세응吳世應(전 국회의원), 오한영吳漢泳(전 보사부장관), 오정근吳定根(국세청장), 오천석吳天錫(철학박사, 전 문교부장관), 오치성吳致成(전 내무부장관), 오정수吳楨洙(전 상공부장관), 오세훈吳世勳(前 서울시장) 등을 필두로 각계각층에서 유명인물이 많이 나왔다.

〈참고자료〉
김동익, 『한국성씨대백과 성씨의 고향』, 중앙일보사, 1989
김진우, 『한국인의 역사』, 춘추필법, 2009
〈참고사이트〉 해주 오씨 대동종친회(http://haejuo.linuxtest.net/xe/), 해주 오씨 종친회(http://www.hj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