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신교에서 시작돼 신교로 귀결된다

[특집]
9천년 한민족사의 위대한 증언
안경전 종도사님의『 환단고기桓檀古記』 이야기〈 8-2〉

◎ 생겨난 나라가 다르고 시대가 다른 유교와 신교의 연관성은 어떤 것입니까.
무엇보다 유교의 창시자인 공자는 중국의 은나라 말기의 재상이었던 송미자의 후손입니다. 공자는 동이족 출신이거나 최소한 동이족 문화권에 살고있던 인물들에게 가르침을 받아 자신의 사상을 확립했으리라는 사실을 주목해야 합니다. 공자의 스승은 담국郯國의 군주였던 담자郯子인데 그는 동이족 출신입니다『( 춘추좌전』). 또 공자는 장홍萇弘이라는 인물에게 음악을 배우고 사양師襄이라는 노나라 악관에게 거문고를 배우고 노담老聃에게 예禮를 배웠습니다. 주나라의 대부大夫였던 장홍을 제외한 다른 두 스승은 모두 신교문화가 가장 번성했고 동이족의 주된 생활 근거지였던 산동 사람들입니다.

공자는 요임금과 순임금의 도를 따르고 문왕과 무왕의 법을 지켰습니다. 요와 순은 동이족 혈통의 인물들입니다. 공자가 이상사회의 모델로 삼은 3천년 전의 주나라는 정치적, 문화적으로 단군조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 나라입니다. 요순시대를 계승한 중국의 하·상·주 3대 왕조는 단군조선의 신교 문화권에 속해 있었고, 하·상·주 사람들은 단군조선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대우주 통치자를 받드는 상제신앙을 갖고 있었습니다.

주나라 때 상제신앙은 공자가 편찬한 유가의 경전인 『시경』, 『서경』 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나라의 왕들은 하늘天을 인격적인 존재로 인식했습니다. 하늘이 인간에게 천명을 내리고 인간이 덕을 잃으면 언제라도 그 천명을 거두고 재앙을 내린다고 본 것입니다. 그런 주나라를 자신의 이상으로 삼은 만큼 ‘공자가 신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밖에 없습니다.

중국인들이 그들 문화의 상징처럼 말하는 팔괘 역시 신교문화에서 나왔다 할 수 있습니다. 팔괘를 만든 것은 태호 복희씨입니다. 그는 배달국 5대 태우의환웅의 아들로 지금부터 5,500년 전 사람입니다. 그가 천하天河라는 곳에서 하도河圖를 얻어 팔괘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태백일사』 「신시본기」에 있습니다.

하도河圖는 동서남북 사방으로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배치된 그림으로 ‘천지의 수’이자 천지가 돌아가는 이치를 상징화한 그림입니다. 이로부터 동양의 상수학象數學이 체계를 갖추게 되었고, 동양수비학(數秘學, numerology)이라 할 수 있는 음양 상수학 분야도 여기서 나왔습니다. 공자가 끈이 닳고 닳아 끊어지도록 읽었다는 『주역』 또한 하도河圖 그리고 나중에 나온 낙서洛書에 기반을 두고 지어진 것입니다. 공자의 유교문화의 근원이 동방 한민족 문화의 정수로부터 나왔다는 말은 근거 없는 주장이 결코 아닙니다.

◎ 얼핏 신교라고 하면 일본의 신도神道와 발음도 비슷한데 그 둘 사이에도 어떤 연관성이 있습니까?
있습니다. 그것도 아주 깊은 문화사 전수의 관계가 있습니다. 흔히들 신도가 자연현상과 자연의 여러 요소들을 숭배하는 정령숭배다, 그렇게들 알고 있는데 주목할 것은 조상신을 받든다는 점입니다. 신도에서는 1만 개가 넘는 각처의 신사神社에 여러 신들을 모십니다. 우리에게는 2차 대전의 전범들을 일반 전사자들과 합사合祀한 야스쿠니(靖國) 신사가 늘 문제가 되고 해서 알려져 있지요.

그런데 사실 신도는 메이지시대 일본인들이 천황제를 신격화, 절대화하려고 이른바 ‘국가신도國家神道’를 조직하고 이용했던 것에서 시작됐습니다. 일제 때 우리 조선인들에게 천황을 받드는 신도 의식을 강요하고 오늘에 와서는 정치인들이 전범을 참배하는 까닭에 그 이미지가 아주 좋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나중에 근세사에서 벌어진 그런 일들을 차치하고 신사 문화의 유래를 더듬어 보면 일본의 신도는 본래 한민족, 한반도에서 건너간 신교가 일본 땅에서 토착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 금줄]

◎ 어떤 근거가 있습니까.
우리 신교에서 말하는 삼신三神이 일본의 역사서인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조화삼신造化三神이라고 돼 있습니다. 육당 최남선 선생도 여러 고증을 통해 ‘우리의 옛 제천의례가 일본으로 건너가 신도가 되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일본 왕실에서는 매년 11월 23일 신상제新嘗祭라는 의식을 지내는데 이때 모시는 신이 놀랍게도 한신韓神입니다. 한국에서 건너간 신이라는 뜻이지요. 또 삼신께서 보내신 사자使者라는 세 발 달린 까마귀, 삼족오三足烏도 일찍이 일본에 전해져 그 건국신화에 나타납니다. 『일본서기』에 보면 일본의 초대 신무神武 왕이 큐슈에서 야마토 지역으로 원정 갔을 때 그를 인도한 것이 ‘야타가라스’라는 까마귀였습니다.[그림] 일본인들이 신조神鳥로 여기는 이 까마귀가 바로 발이 셋인 삼족오입니다.

그 외에도 일본을 대표하는 문화행사가 있습니다. 그것은 역사의 상징 가운데 하나라는 이세신궁에서 천상의 지고한 신인 태일신太一神을 모시는 행사입니다.[그림] 이 행사 또한 동방 한민족이 모신 태일신에서 기원합니다.

◎ 신과 종교를 말할 때, 그렇다면 신과 우주와 인간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하는 우주론을 빼놓을 수 없을 것입니다. 신교에도 물론 신교만의 우주론이 있을 터인데 어떤 것입니까.
『환단고기』는 한민족 고유의 우주론, 신관, 인간론 등을 담고 있는 신교의 문화원전입니다. 마땅히 신교의 우주론에 대한 대답 또한 『환단고기』에 소상히 나와 있습니다. 신교의 우주론에서는 신과 우주를 떼어놓고 인식하지 않습니다. 신교의 창조신이신 삼신과 우주의 기원을 함께 설명합니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대자연의 모든 생명체가 생겨나고 변화하는 주된 근거로 신을 이야기해 왔습니다. 그 신을 동방의 신교에서는 일신一神이라 하는데 일신에서 ‘일’은 오직 하나뿐인 절대 근원을 뜻합니다.

만유생명의 본체는 일신인데 세 손길로 작용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일신은 삼신이고 삼신은 곧 일신이라는 것입니다. 일신인 조물주 하나님이 곧 삼신인 것은 그 창조성이 조화, 교화, 치화라고 하는 세 가지 손길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즉 삼신은 만물을 낳는 조화신, 만물을 기르는 교화신, 만물의 질서를 잡아나가는 치화신으로 작용합니다. 조물주 하나님이 조화, 교화, 치화의 덕성에 따라 현실세계에 스스로 현현顯現한 것이 바로 하늘, 땅, 인간입니다.

그러나 삼신의 작용만으로는 인간과 만물이 유기적인 질서에 따라 태어날 수도 변화할 수도 없습니다. 삼신의 조화권능과 삼신에 내재된 자연의 이법理法을 직접 주관해서 천지만물을 낳고 다스리는 또 다른 신이 있는데 이 신을 『환단고기』는 ‘삼신일체상제’로 표현합니다. 삼신상제님은 무형의 존재인 본래의 삼신과 달리 사람 형상을 하고 천상보좌에서 온 우주사회를 다스리는 유형의 통치자 하나님입니다.

이러한 삼신우주론으로 동양과 서양의 우주론이 확연히 구분됩니다. 유목문화에서 나온 기독교 중심의 서양 우주론에서, 신은 만물을 일방적으로 창조해낸 존재이고 하늘과 땅과 인간 위에 군림하는 초월신입니다. 반면 농경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동양사회에서는 하늘과 땅, 인간을 삼재三才라 합니다. 그러면서 이 삼재는 다름 아닌 ‘삼신께서 현실에 자기 모습을 나타내신 지존자이다’, ‘삼신의 자기현현自己顯現이다’ 그렇게 표현하지요. 여기서 하늘과 땅과 사람은 조물주에 의해 일방적으로 만들어지고 다스려지는 단순한 피조물이 아닙니다. 하늘도 신이요 땅도 신이요 인간도 신으로서 천지만물이 다 삼신의 현현, 삼신 자체입니다. 모든 존재가 삼신의 신성을 갖고 있는 귀한 존재가 되는 것이지요. 이것이 신교가 전하는 삼신우주론의 인간론의 핵심입니다.

◎ 앞서 홍익인간 이야기에서도 수행修行을 통해 참된 나를 찾는 것이 일단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여느 종교나 사상에서처럼 신교에도 나름의 수행법이 있겠지요?
『삼국유사』의 고조선조條에는 환웅에게 곰과 호랑이가 와서 환웅에게 사람이 되기를 빌자 환웅이 쑥과 마늘을 주고 백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라고 한 기록이 나옵니다. 이는 천지 광명의 참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웅족과 호족에게 환웅께서 그것을 이루기 위한 수행법을 가르쳐주신 것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즉 광명의 인간이 되기 위한 금기와 수행의 길을 두 부족에게 가르쳐주신 것입니다. [그림 수행하는 남신상]

『환단고기』를 보면 당장 환웅천왕 자신도 천신께 제사지내고 수도하며 주문을 읽어 공덕이 이뤄지기를 기원하였다, 그런 대목이 있습니다. 그보다 앞서 환국시대의 환인천제 또한 천산에 머물며 도를 깨쳐 장생하고 병이 없었다, 나아가 백성들로 하여금 부지런히 수행에 힘쓰도록 하였다고 했습니다.

『환단고기』는 또 고구려 시대까지 전해진 신교 수행법도 기록하고 있습니다. 고주몽 성제가 신하들에게 <마음을 지극히 비움으로써 고요함이 생기고 고요함에서 지혜와 덕이 충만해진다>고 가르친 대목입니다. 을지문덕 장군도 <도를 통하는 요체는 염표문念標文[그림]을 실천하고 고요히 몸을 닦아 홍익인간이 되는 데 있다>고 했습니다. 한마디로 신교문화권에서 수행은 상제신앙과 함께 생활의 근간이었습니다. 하나 덧붙이자면 수행에서는 다른 무엇보다 주문이 중요합니다. 동서고금을 통해 수행을 위해 외우는 주문은 인간 언어의 원형으로 모든 소리의 근원이요 우주의 원原소리이기 때문입니다. 주문은 이른바 우주 음악입니다.

◎ 흔히들 한국인은 3이라는 숫자와 친하다고 합니다. 오늘 종도사님께서도 앞서 잠깐 3수 문화를 언급하셨는데 그 또한 신교의 전통에서 비롯됐다, 그런 말씀이지요?
신교문화의 근원이자 핵심은 삼신상제님입니다. 일신이 삼신으로 작용한다, 그러한 3수 문화가 현실에서는 3과 7이라는 숫자로 펼쳐집니다. 이 3과 7은 곧 삼신과 칠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관을 창시한 우리 한민족의 정신사와 생활사에서 뗄래야 뗄 수 없는 것입니다. 『태백일사』의 「삼신오제본기」에는 동방 한민족의 우주문화의 정신사를 관통하는, 과연 우리 한민족이 어떤 민족인가를 알게 하는 주옥같은 내용들이 들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우리 마음의 3대 앎의 작용인 삼식(영식靈識, 지식知識, 의식意識), 삼혼三魂(영혼靈魂, 각혼覺魂, 생혼生魂), 삼진三眞(성性, 命명, 정精), 삼망三妄(심心, 기氣, 신身), 삼도三途(감感, 식息, 촉觸) 같은 것이 그 대표적인 내용입니다.[그림]


시간관계로 일일이 설명할 수 없지만 이런 콘텐츠가 바로 동방문화 고유의 정신론, 수행론, 인식론입니다. 한민족의 모든 사상과 철학은 이러한 콘텐츠와 연결돼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9천여년 전에 내려주신 최초의 경전인 「천부경」에서는 천지인을 가리켜 ‘천일天一 지이地二 인삼人三’으로 정의합니다. 이처럼 하늘과 땅과 사람, 모든 것은 3수를 근본으로 성립되고 그것이 올바르게 굴러가는 생성작용의 근본법칙 또한 3수에 의해 성립됩니다.

이 3수문화는 국가경영체제에도 그대로 적용됐습니다. 배달은 국가 중앙조직으로 풍백, 우사, 운사를 두는 삼백三伯제도를 두었습니다. 단군조선은 한 명의 대단군과 두 명의 부단군이 삼한三韓으로 나라를 나누어 다스렸습니다. 백제는 중앙의 임금을 좌현왕과 우현왕이 보좌했습니다. 조선의 삼정승 제도, 현대 민주주의의 삼권분립 역시 우연히 나온 게 아닙니다.

◎ 7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습니까.
3수 문화와 짝을 이루는 것이 바로 7, 칠성문화입니다. 신교의 전통에서는 하느님을 삼신상제님으로만 모신 게 아니라 칠성님으로도 모셨습니다. 칠성님은 우리 선조들이 하느님을 부르는 또 다른 호칭이었습니다. 칠성은 삼신상제님이 계시는 별, 곧 북두칠성입니다.[그림] 북두칠성은 우주의 중심별로 천지일월과 음양오행 기운을 다스리며 인간의 무병장수와 생사화복, 영원불멸, 도통道通과 깨달음을 관장합니다.

삼신상제님이 곧 칠성님입니다. 삼신과 칠성은 우리 전통에서도 항상 같이 나타납니다. 가령 인간의 영혼세계 혹은 정신세계를 ‘삼혼칠백三魂七魄’이란 말로 표현합니다. 혼과 백은 인간의 육신에 깃들어 있는, 천지의 정신이 담긴 두 존재를 가리킵니다. 이를 신교에서는 세 혼과 일곱 넋이라고 합니다.

인간이 죽으면 어떻게 될까요? 그저 단순히 육신이 땅으로 돌아가 사라지는 것이 아닙니다. 혼은 천상天上으로 올라가 신神이 되고, 넋은 땅으로 돌아가 귀鬼가 됩니다. 생명이 죽음이라는 통과의례를 거쳐 신과 귀로 다시 태어납니다. 그러면서 신과 귀는 하늘과 땅 속에서 다시 진화를 거듭합니다. 그것이 천지가 낳아준 인간 생명의 진정한 삶의 모습입니다. 신교에서 정신론은 혼백론으로, 다시 천지부모 성령의 생명론으로 승화되면서 우리에게 영과 육의 끊임없는 우주적 상관성을 일깨워 줍니다.

◎ 그동안 「천부경」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말씀하셨습니다. 「천부경」 또한 신교의 전통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주제인 것 같습니다. 어떤 경전, 어떤 내용입니까.
「천부경」은 환국시대 생겨나와 백성들 사이에 구전口傳되다가 녹도문鹿圖文으로 기록되고 다시 한자로 번역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는 것을 지난 대담에서 내력을 잠깐 이야기했습니다. 먼저, 경전들을 다루는 세계 경학經學의 역사에서 볼 때 「천부경」은 인류 문화사 최초의 경전입니다. 불과 81자로 이루어진 짧은 글이지만 그 내용은 방대한 우주관, 신관, 역사관, 인간관을 담고 있습니다. 전문全文은 이렇게 돼 있습니다. [그림]

이 한 글자 한 글자, 한 문장 한 문장이 과연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이야기하는 것만으로도 두툼한 한권 책이 될 겁니다. 오늘은 그 뜻보다 「천부경」의 가치, 신교에서 갖는 의미가 어떤 것인지만 이야기하겠습니다.

먼저 각 문장의 뒤에 표기한 상경, 중경, 하경은 후대에 임의로 구분한 것입니다. 각 부분의 대의를 살피면 상경은 우주만물의 본체를 근원적으로 밝힌 것으로 천도天道의 근간이 됩니다. 중경은 그 현상의 변화를 근원적으로 밝혀 지도地道의 근간이 됩니다. 하경은 인간과 천지가 하나로 합쳐진 이상적 인간인 태일의 존재를 밝힌 것으로 인도人道의 근간이 됩니다. 이 「천부경」의 내용 가운데 특히 놀라운 것은 천도와 지도와 인도를 모두 자연의 숫자로써 밝히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 숫자들은 신과 우주와 인간에 대한 무궁한 상징성과 함축성을 갖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숫자들의 의미를 천착하고 깨달으면 이 짧은 글을 통해 저 천지만물과 인간의 본성을 깨달을 수 있고, 놀라운 진리의 핵심정수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이처럼 귀하고 소중한 기록이 지금 21세기까지 남아 전해지는 것은 실로 삼신상제님의 큰 뜻이고 또 우리에게는 참으로 크나큰 복이 아닐 수 없습니다. [천부경]

◎ 「천부경」외에 신교문화를 전해주는 환단시대 다른 경전도 남아 있습니까.
상제님과 조상님들께 고맙게도 「천부경」과 함께 「삼일신고三一神誥」와 「참전계경參佺戒經」이 있습니다. 이들 세 경전이야말로 한민족의 시원 신교문화를 담고 있는 3대 경전이다, 그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삼일신고」는 신교의 세계관, 상제관, 인간관, 수행관의 정수를 모아 기록한 경전입니다. 환웅천황께서 선대 환국으로부터 전수받은 「천부경」의 내용을 바탕으로 백성들의 교화를 위해 지은 것입니다. 진리의 핵심을 다섯 개 장章으로 나누어 썼습니다. 본래의 옛 판본은 이 같은 다섯 개 장으로 나뉘지 않았는데 나중에 고려 말에 행촌杏村 선생이 장을 나누었습니다. 그러고 나서 제1장은 허공虛空, 제2장은 일신一神, 제3장은 천궁天宮, 제4장은 세계世界, 제5장은 인물人物로 제목을 붙였습니다.

허공은 하늘의 본질, 일신은 하늘의 주재자, 천궁은 하늘의 조화가 갖추어진 상제님의 옥좌가 있는 곳, 세계는 만세의 인물이 출현하는 큰 장소, 인물은 우주 삼계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를 뜻합니다. 모두 366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인간과 만물은 삼신 상제님의 조화로 생겨났다 △인간은 삼신의 우주 광명한 본성에 통하므로 △삼신의 공덕을 완수하고 삼계 우주의 꿈과 역사의 이상을 실현하는 태일 인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입니다. 한마디로 어떻게 참된 나(眞我)를 실현하는가, 그 길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참전계경」은 고구려 제9세 고국천왕 때 명재상 을파소가 백운산에서 기도하며 하늘로부터 강령을 받아 기록했다는 경전입니다. ‘참전’은 <사람으로서 천지와 온전하게 하나 됨을 꾀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참전계’는 사람이 하늘과 하나 되어 완전한 인간이 되기 위해 지키고 연마해야 할 계율이 됩니다. 정성(誠), 믿음(信), 사랑(愛), 선제(濟), 재화(禍), 홍복(福), 보은(報), 응보(應) 등 8가지 조목과 그에 대한 366절목節目이 기록돼 있습니다. 을파소는 비록 자신이 「참전계경」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이미 일찍이 배달국 초기의 신시 환웅 때 이래 참전계로써 백성을 교화해 왔다고 했습니다.

◎ 불교다 카톨릭이다 개신교다 해서 외래종교가 치고 들어와 자리를 다 잡은 오늘 상황에서, 과연 한민족에게 신교문화의 전통이 부활할 수 있으리라 보십니까?
지금까지 살펴보았지만 우리 한민족은 인류문화의 원형 종교이자 모체 종교를 가진 민족이면서 그 종교를 바탕으로 인류 시원문명을 연 창세민족입니다. 일찍이 삼신상제님의 가르침으로 세상을 다스리고 대대로 하늘에 감사하는 천제[그림]를 지내 천자국의 위엄을 보였던 민족입니다. 그러한 상제신앙과 상제문화는 고려시대까지 이어오다가 유교 문화의 조선에 와서 쇠락하고 잊히게 되었습니다.

그러다 19세기 중엽 수운 최제우崔濟愚(1824~1864)가 상제님의 천명을 받고 천주님을 받들어라, 곧 시천주侍天主 신앙을 만천하에 외친 것이 바로 동학입니다. 동학은 단순히 농민혁명이라는 사회운동이 아닙니다. 한민족과 인류의 시원종교인 신교를 되살리고 신교문화를 되살려야 한다는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한민족은 이 기회마저 잃어버렸습니다.

물론 동학혁명은 일본 제국주의의 총칼에 무참히 좌절됐습니다. 또 동학의 가르침 자체도 상제님 소식을 전하라는 본래 사명에서 3세 손병희孫秉熙(1861~1922) 교주를 통해 사람이 하늘이다, 곧 인내천이라는 쪽으로 왜곡돼 원래 시천주 정신을 잃어버렸습니다. 여기다 중국을 받드는 사대주의와 일제의 조작에 물든 식민주의 사관으로 우리의 뿌리 문화와 역사가 죄다 잘려 나갔습니다. 한국인의 시원역사, 원형종교와 문화, 전통이 모두 시들고 결국 우리의 민족혼도 시들어 버렸습니다. 이러한 작금의 상황을 일찍이 단재 신채호 선생은 이렇게 개탄했습니다.

“(이 땅에) 석가가 들어오면 조선의 석가가 되지 않고 석가의 조선이 되며, 공자가 들어오면 조선의 공자가 되지 않고 공자의 조선이 되며, 무슨 주의主義가 들어와도 조선의 주의가 되지 않고 ‘주의의 조선’이 되려 한다. 그리하여 주의와 도덕을 위하는 조선은 있고 조선을 위하는 주의와 도덕은 없다. 아, 이것이 조선의 특색이다.”

그러나 이제 『환단고기』의 참뜻이 밝혀지고 그것이 책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점차 대중에게 확산되면서 한민족은 동학 이후 다시 한번 인류문화의 원류요 젖줄, 생명의 노릇을 해온 우리 고유의 신교문화를 되찾을 계기를 맞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것이 진정한 우리 참된 역사인지, 어떤 것이 진정한 우리의 전통 문화인지 국민들이 알게 된다면 그야말로 ‘9천년 한민족과 인류문화의 생활과 정신세계를 지탱해준 신교문화의 르네상스 시대’가 열릴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