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가賈씨
[한국의 성씨]
소주蘇州 가賈씨
명나라에서 동래한 가유약賈維鑰
가씨賈氏는 중국에서 건너 온 성씨이다. 우리나라 가씨는 주나라의 무왕을 시조로 받들고 있다. 주 3대 강왕康王 때 당숙우唐叔虞(무왕의 3남)의 유자幼子 공명公明을 가賈 땅의 백伯으로 봉하면서 가씨로 성을 삼았다고 한다. 주나라 혜왕 때 가화賈華란 사람이 있었고, 한나라 후기 때 가수賈壽는 낭중령郎中令이 되었으며, 진晉나라 때 가효賈孝는 나라에 공을 세워 가賈성을 하사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 가씨는 소주蘇州를 단본으로 한다. 소주는 중국 강소성 남동부 태호太湖 동안에 위치한 고장으로 옛 이름은 오현吳縣이다. 일찍이 춘추전국 시대에 오吳나라의 국도國都였고 이후 주변 지역의 행정 중심지로 발달했다. 중시조 가유약賈維鑰의 출신지가 중국 강소성 소주이다. 그는 명나라 신종 때 추밀원사樞密院使(왕명 출납하던 추밀원의 2품), 병부상서兵部尙書, 태자소부太子少傅, 문연각태학사文淵閣太學士(북경의 궁중에 있던 장서의 전각에 소속된 대제학)를 지냈다.귀화 계기와 주요 인물들
문헌에 따르면 가유약은 임진왜란이 난 이듬해인 1593년(선조 26) 계요안찰사薊療按察使(계주, 요동)로 왕의 명을 받아 이여송李如松, 마귀麻貴 등과 함께 원병을 이끌고 조선에 들어왔다. 그는 안주安州 등지에서 왜군과 싸워 공을 세우고 선조 29년까지 4년간 종군하고 돌아갔다. 그러나 1597년(선조 30년)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유격장군인 아들 가상賈祥과 병부종사관兵部從事官인 손자 가침賈琛을 데리고 다시 조선에 들어왔다. 조부손祖父孫 3대가 조선에 출정한 것이다. 그리하여 가유약은 소사素沙, 남원南原 전투에서 큰 전공을 거두고, 1600년 부산 포구에서 아들 가상과 함께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손자 가침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시신을 거두고 울산 서생진 도독동에 무덤을 만들었다.전쟁이 끝나서 명나라 원병이 본국으로 돌아갈 때 도독 마귀가 가침에게 함께 귀국할 것을 권유했으나, 그는 "조부와 부친의 묘를 두고 어찌 이곳을 떠나겠느냐" 하며 조선에 귀화하여 조상의 무덤이 있는 울산에 자리잡아 안동부사 권순權純의 딸과 혼인하여 네 아들을 두었다. 1647년(인조 25) 가침賈琛이 죽자 슬하의 아들 가성賈晟, 가호賈昊, 가병賈昺, 가수賈遂 4형제는 고국인 중국으로 돌아가고자 뱃길이 가까운 태안반도 안흥만에 도착했다. 그때 중국은 명나라가 망하고, 청나라가 들어서는 난세이므로 결국 귀환을 포기하고 태안반도에 정착하였다.
조선 조정에서는 이 사실을 가상히 여겨 선조 3세에게 2충1효의 불천지사우不遷之祠宇와 정문旌門을 하사했다. 충남 태안군 도내리에는 가침의 장남 가성의 묘가 있다. 1851년(철종 2)에는 시조 가유약과 아들 가상, 손자 가침 3대의 충효를 기리는 사당 숭의사崇義祠와 정문이 충남 태안군 남면 가씨 마을에 내려졌다.
후손 중에 유약의 14세손 행건行建이 헌종 때 충청도 안흥安興 양진梁鎭의 수군병마절제사를 지냈는데 천성이 어질어 ‘도덕군자’라는 칭송이 높았다.
그의 아들 일영日永도 철종 때 울진현령 등을 지내며 벼슬이 높았고, 선정을 베풀어 그가 울진을 떠나올 때 군민들이 암벽을 갈아 그의 공적을 새겼다고 하는 ‘마애비磨崖碑’가 지금도 전한다. 일영日永의 아우인 중영中永은 철종 때 충량과忠良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고종 때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으며, 14세손 익건翊健은 1866년(고종 3) 프랑스 함대가 강화도를 점령했을 때 의병을 일으켰다.
그 외 한말과 일제 침략기에 선조의 뜻을 이어 나라에 충성한 인물로는 의영義永과 병준秉俊의 부자父子가 유명했다. 후덕하고 자선심이 많기로 이름났던 이들 부자는 사재를 털어 가난한 이웃을 구제하는 등 사회사업에 공헌했으며, 호서 일대의 한학자로 학명을 떨쳤던 형로衡魯는 항일투쟁에 헌신하여 일경으로부터 주목받는 대상이 되었다.
신.구 학문과 사학史學에 정통했던 병준秉峻은 서산에 농림중학교를 설립하여 영재교육을 통한 광복운동과 농사개량 및 산업발전에 이바지한 공이 지대하여 면민面民이 송덕비頌德碑를 세웠으며, 시조의 18세손 재연在衍은 인천상고 재학 시 은행원 신분으로 항일투쟁에 앞장섰다가 옥고로 순국했다.
민족계몽 운동 중 일본 헌병의 목을 베려 했던 정로晶魯(시조의 17세손)와 사재를 털어 임시정부를 지원했던 재창在昌도 애국애족의 정신으로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정로廷魯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 예산· 서산· 공주의 군수를 지냈다. 그 후 가씨는 서산을 중심으로 한 충남 일대에서 충효의 전통을 이어 오면서 가문이 크게 번성하였다. 그중에서도 태안군이 중심이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충청도 지역에 극심한 생활고가 덮치자 배를 타고 인천으로 올라가 살아서 그곳에도 집성촌을 이루었다.
한편 가유약의 동래 이전부터 충남 태안군 일대에 세거하여 살던 태안 가씨가 있었다. 전라도 용담현龍潭縣의 토성土姓으로도 가賈씨가 기록되어 있다. 2015년 통계청 조사에서 태안을 본관으로 하는 태안 가씨는 70명으로 조사되고 있다. 소주 가씨가 태안군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 태안 가씨 상당수가 소주 가씨로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자료〉
김동익, 『한국성씨대백과 성씨의 고향』, 중앙일보사, 1989
김태혁, 『한민족 성씨의 역사』, 보문서원, 2015
〈참고사이트〉
성씨 정보(http://www.surname.info)
뿌리를 찾아서(http://www.rootsinfo.co.kr)
통계청 홈페이지
위키 백과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