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사 | 운요호Unyo(雲揚)號 사건

[사진으로보는역사]
사실은 순간순간 놓치기 쉽다. 기억으로 붙잡아도 망각의 강으로 스러져 간다. 사진은 사실을 붙잡아 두는 훌륭한 도구다. 포착된 사진들은 찰나를 역사로 만들어 준다. 사진 속에서 진실을 찾아보자!


“일본 사람이 3백 년 동안 돈 모으는 공부와 총 쏘는 공부와 모든 부강지술(富强之術)을 배워 왔나니 너희들은 무엇을 배웠느냐. 일심(一心)으로 석 달을 못 배웠고 삼 년을 못 배웠나니 무엇으로 그들을 대항하리오. 그들 하나를 죽이면 너희들은 백이나 죽으리니 그런 생각은 하지 말라.” - 도전 5편 4장


돈 모으는 공부와 총 쏘는 공부는 부국강병富國强兵을 말한다. 300년 전이면 16세기 무렵이다. 일본은 16세기부터 네덜란드와 통상을 하면서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포르투갈을 통해 조총鳥銃(화승총火繩銃)을 수입하여 군대를 조련한 것도 1543년, 그 무렵이다. 이때부터 부국강병이라는 국가 어젠다Agenda가 작동하기 시작한 것이다. 1868년의 메이지 유신維新은 그 꿈을 이루는 근대화 개혁의 시발점이다. 유신으로 성공적인 개혁을 이루고 난 1870년대부터 일본 조야朝野에서는 정한론征韓論이 불을 뿜듯 일어났다. 말 그대로 이웃 나라 한국을 정복하여 힘을 기르고 그 힘으로 대륙으로 진출하자는 주장이다.

이에 반해 조선은 어땠을까? 관료들은 고루한 유교 이념에 매몰되어 서로를 난정亂政이나 사도邪道로 낙인찍기에 여념이 없었다. 정쟁은 상대방이 죽고 사라질 때까지 집요하게 계속됐다. 연산군 4년(1498)의 무오사화戊午士禍를 필두로 벌어진 네 번의 사화가 모두 그 참혹한 결과물이다. 70여 년에 걸쳐 거듭된 사화로 인해 조선은 인재의 씨가 말라버렸다. 이러고도 나라가 기울지 않으면 그게 비정상이다. 또한 조선 후기에는 척화斥和라는 이름으로 나라의 문을 닫기에 급급했다. 그 바탕에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이라는 서열과 양반과 상놈을 차별하는 지배층의 신분 제도가 서양 문명에 의해 침식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자리 잡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백성들은 신분제의 벽에 갇혀 세상 물정에 어두운 국제 장님으로 전락했다. 더욱이 관리들은 힘없는 백성들을 대상으로 서로 경쟁하듯 토색질에 여념이 없는 시절을 보내고 있었으니 요샛말로 ‘도대체 이게 나라냐?!’는 푸념이 나올 법 하다.

일본은 1854년 미국의 페리 제독이 이끄는 포함외교砲艦外交에 바로 굴복하고 개항(개국)하였다. 일본은 조선을 개항시키기 위해 그들이 미국에게서 배운 방법을 그대로 써먹는다. 그 첫 번째 사건이 운요호(雲楊號) 사건이다. 운요호는 일본이 영국에서 수입한 배다. 전장 35미터이고 배수량은 249톤으로 1869년에 취역한 군함이다. 160㎜ 포 1문과 140㎜ 포 1문을 탑재하여 근대식 화력을 갖췄다. 1875년 9월 20일 함장 이노우에가 이끄는 운요호는 동해안을 순항하고 다시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을 거슬러 강화도 앞 난지도에 도착하였다. 이노우에는 일본군 수십 명을 데리고 담수 보급의 명목으로 작은 보트를 타고 강화도 초지진으로 접근하였다. 이때 해안 경비를 서고 있던 조선 수병은 예고도 없이 침투하는 일본군 보트에 포격을 가하였고, 이에 일본군은 모함으로 되돌아가, 함포로서 조선에 보복 포격을 가하였다. 그리고 영종진永宗鎭(오늘날의 영종도)에 상륙하여 조선 수군과 격전을 벌여, 근대 무기로 무장한 일본군이 조선군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무기도 다량 탈취하였다. 그리고 주민에 대한 방화, 살육을 하고 퇴각하였다. 그 후 일본은 다시 강화도 앞바다에 무력시위를 하며 나타나, 이 사건의 책임을 조선에 물으며 수교 통상을 할 것을 강요하였다. 그 결과 이듬해인 1876년 2월 26일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고, 조선은 일본에 개항을 하게 되었다. 운요호 사건은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기 위한 전초전으로 의도적으로 일으킨 사건이다. 이것은 일본 제국주의 대륙 침략의 단초端初였으며 신호탄이었다. 당시 조선은 병사하기 일보 직전에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는 환자와도 같았다. 과연 조선의 마지막 숨통을 끊어 놓을 나라는 누가 될 것인가? 일본이냐 러시아냐, 아니면 저 멀리 영국일까? 미국일까? 그것은 전적으로 국제 정세와 강대국들의 힘겨루기에서 결판날 문제였지 당시 조선의 선택지는 제로에 가까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