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칼럼 | 나를 덜어 냄으로써 하늘의 보탬을 받을 수 있다(김재홍)
[철학산책]

약력: 충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철학박사 학위 취득(중국철학 전공, 세부전공 : 주역과 정역). 충남대학교 역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역임, 목원대, 배재대, 청운대 외래교수 역임하였고, 현재 충남대학교 철학과에서 강의 중이다. STB상생방송에서 <주역 계사상·하편> 강의를 완강하였고 현재 <소통의 인문학 주역>을 강의, 방송 중이다.
인간은 실존적인 삶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내가 한 노력보다 더 많은 대가를 바라는 망심妄心을 가지고 있다.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작은 노력과 실천의 대가가 하늘에 많을 것임을 바란다. 그러나 하늘은 그러한 간구를 들어주지 않으니 잠시 시험에 들어 번민하게 된다. 그렇다면 과연 덜어 냄과 보탬이라는 것은 어떤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 『주역』에서는 덜어 냄(손損)과 보탬(익益)에 대하여 소상하게 밝히고 있다.
산택손괘山澤損卦
①아래 것을 덜어서 위 것에 보태는 것을 상징한다: 하괘의 육삼六三(밑에서 3번째 효)을 떼 내어 상괘의 육사六四(밑에서 4번째), 육오六五(밑에서 5번째)의 음효에 보태 주고 있는 것같이 보인다.
②비가 내리면 산 위에서 물이 아래로 흘러 연못을 채우니 겉으로는 손해같이 보이지만 결국 이익이 되는 것이다.
③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위해 봉사하는 것이다. 복福은 위로부터 내리는 것이요, 아래에서 치오르지 아니하나니(도전 9:11:2) 이 또한 이익이 되는 것이다.
덜어 냄(손損)으로써 진리의 자각이라는 보탬(익益)이 있다는 이치를 깨닫는 것이 개인의 행복과 허물없는 삶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공자가어孔子家語』(「논어」에 없는 공자의 일화를 기록한 책)에서도 “공자께서 「주역」을 읽으시다가 손익괘에 이르자 탄식하며, 말씀하시되 덜어 내고자 하는 자는 더하고, 더하고자 하는 자는 잃음이라.”라고 하였다. 이것은 덜어 냄과 보탬의 근저에는 먼저 인간적인 욕구와 욕심을 덜어 냄으로서 비로소 하늘로부터 보탬이 있음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인간의 실존적인 삶 속에서 사욕을 버리는 것이 천도에 대한 주체적 자각의 계기가 되어 하늘의 은총을 얻게 됨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탬의 전제인 덜어 냄의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
이 구절에서 천명闡明하고 있는 ‘덜어 냄’에 대하여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덜어 냄은 인간의 욕심을 덜어 내라는 것이다. ‘욕심을 덜어 내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고, 바르게 할 수 있으며, 갈 데가 있으면 이롭다’고 하는 것이다. 둘째, 덜어 냄은 ‘허식’을 덜어 냄이다. 제사와 같이 정성으로 행해야 하는 예禮에 있어서는 비록 대그릇 둘만을 쓰듯이 간략하고 검소하지만 정성을 다하면 모든 사람이 믿어 승복함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욕심을 덜어 내면 길하다’는 것이나 제사가 간략하지만 그 정성을 다한다면 사람들이 믿고 승복한다는 것은 바로 천도에 대해 진실한 믿음이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인격적으로 병든 부분을 다 덜어 버리라고 한다. 군자의 입장에서 인격적으로 병든 부분을 다 덜어 버리라는 말이다. 병든 부분을 다 떨어 버린다는 것을 ‘욕심을 덜어 냄’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인격을 병들게 하는 주요인이 되는 소인지도 혹은 용심(심술로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빨리 떨어 버리면 기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군자유구사君子有九思(군자로서 항상 생각해야 하는 것 아홉 가지) - 『논어』 「계씨季氏」 편
시사명視思明: 볼 때는 밝게 볼 것을 생각하고
청사총廳思總: 들을 때는 똑똑하게 들을 것을 생각하고
색사온色思溫: 얼굴빛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모사공貌思恭: 태도는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언사충言思忠: 말을 할 때는 진실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사사경事思敬: 일을 할 때는 공경스럽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의사문疑思問: 의심이 날 때는 질문할 것을 생각하고
분사난忿思難: 화가 날 때는 어려움을 생각하고
견득사의見得思義: 이득이 되는 것을 보면 그것이 의로운지를 생각한다
시사명視思明: 볼 때는 밝게 볼 것을 생각하고
청사총廳思總: 들을 때는 똑똑하게 들을 것을 생각하고
색사온色思溫: 얼굴빛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모사공貌思恭: 태도는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언사충言思忠: 말을 할 때는 진실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사사경事思敬: 일을 할 때는 공경스럽게 할 것을 생각하고
의사문疑思問: 의심이 날 때는 질문할 것을 생각하고
분사난忿思難: 화가 날 때는 어려움을 생각하고
견득사의見得思義: 이득이 되는 것을 보면 그것이 의로운지를 생각한다
『주역』에서는 천도에 대한 신의를 가지고 항상 순응하며, 정도를 실천하는 자세가 항상 곧으며, 성실한 마음으로 행하면 하늘로부터 도움이 있어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음을 도처에서 천명하고 있다. 그래서 공자孔子는 『주역』 「계사」 편에서 “성인과 군자의 마음이 하나가 되면 건도乾道를 자각하게 되고, 두 사람의 마음이 하나가 되면 그 향이 난초와 같다.”라고 한 것이 아닌가 한다.
© 월간개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