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화로 배우는 우주변화의 원리 | 땅은 만유 생명의 어머니 - 육기론六氣論

[한문화]

김덕기 / STB상생방송 작가

동양에서는 천부지모天父地母라 하여 하늘을 아버지로, 땅을 어머니로 모셔 왔습니다. 하늘이 낳은 정신과 땅이 형성한 물질이 만나 존재가 생성된다고 여긴 것입니다. 그렇다면 하늘은 어떻게 정신을 낳는 것일까요? 그리고 땅은 어떻게 물질을 형성하는 것일까요? 이번 호에서는 육기를 통해 땅 어머니가 만유 생명을 기르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육기의 발생


수많은 별로 구성된 28수宿와 태양계의 각 행성에서 방사된 기운이 지구로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때 각 성신星辰은 자신만의 고유하고 순수한 에너지를 방사하는데 크게 다섯 가지의 기운(오행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 성신의 순수한 오행기가 우주 공간으로 방사되면 이들은 서로 섞여서 새로운 기운인 오운五運으로 변합니다. 그리고 오운(목화토금수)이 지구로 집중되어 들어오면 지구 자체의 기운(10토)과 합해져서 육기六氣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런데 지구의 성질은 지축의 경사에 따라 변하고 있습니다. 지축이 정립한 상태에서는 지구가 본래의 기운인 10토의 성질을 온전히 발현합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지축이 양의 방향으로 23.5도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지구가 분열 기운을 머금게 되어 상화相火로 작용하게 됩니다.


육기방위도와 육기변화도


하늘의 변화인 오운에는 스스로 운동한다는 뜻이 들어 있습니다. 우주의 자율운동이므로 방위를 특정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오운의 기본 법칙은 오행상생도로 표시하고, 운동 법칙은 오운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땅의 작용인 육기는 방위를 특정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육기의 기본 법칙은 육기방위도로 표시하고, 운동 법칙은 육기변화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육기방위도는 기본 법칙이므로 토가 더 늘어났을 뿐 오행상생도와 동일합니다.

- 대화작용과 자화작용
육기가 실제 운동할 때는 반대편에 있는 지지끼리 상호 밀접한 영향을 주고받게 됩니다. 성질이 다른 지지가 만나 같은 기운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1)
마주 대對하고 있는 지지끼리 합合하여 서로를 변화變化시키므로 대화對化작용이라고 합니다. 대화작용은 성질이 다른 것끼리 만나는 것이므로 서로 상극을 하고 있습니다. 육기변화도를 보면 마주 보고 있는 지지의 오행이 상극 관계입니다. 자수子水는 오화午火를 극하며, 신금申金은 인목寅木을 극하고 있습니다. 토를 제외한 나머지도 마찬가지입니다.

1) 명리학에서는 육합칠살六合七殺이라고 하여 ‘자기를 포함하여 여섯 번째 있는 천간은 합을 하고, 일곱 번째 있는 천간은 살한다’고 한다. 칠살의 원칙은 지지에도 적용된다. 칠충七沖이라 하여 자오충子午沖, 축미충丑未沖, 인신충寅申沖, 묘유충卯酉沖, 진술충辰戌沖, 사해충巳亥沖이 있다(지지육합은 자축토子丑土, 인해목寅亥木, 묘술화卯戌火, 진유금辰酉金, 사신수巳申水, 오미화午未火로 별도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우주변화의 원리』 책에서는 ‘마주 대하는 것끼리 서로를 변화시킨다’는 대화작용의 원칙에 따라 천간과 동일하게 합화合化로 논하고 있다.


우주의 변화는 상생과 상극이 함께 그려 내는 공동 작품입니다. 상생과 상극이 작용할 때는 선후가 있습니다. 새싹이 땅을 뚫고 나와야 자랄 수 있는 것처럼 상극이 발생한 후에 상생이 펼쳐집니다. 마찬가지로 육기가 대화작용(상극 작용)을 하면, 이를 바탕으로 ‘목→화→토→상화→금→수’의 순서로 자화自化작용(상생 작용)이 일어납니다.
*2)

2) 자화작용은 첫째 묘목이 유금의 대화작용을 받아 묘금으로 변화하는 것을 뜻한다. 이는 『우주변화의 원리』 책에서 취하고 있는 개념이다. 둘째 ‘목→화→토→상화→금→수’의 순서로 상생하는 것도 광의의 자화작용이다.


- 육기의 생성
오운에서 대화작용에 의해 갑기합화토, 을경합화금 등이 합화合化된 것처럼, 육기에서도 대화작용에 의해 지지가 다음과 같이 합화됩니다.

육기방위도의 십이지지에 숫자를 붙였던 것처럼, 육기변화도의 십이지지에도 숫자를 붙일 수 있습니다. ‘해자축인묘진亥子丑寅卯辰’에는 생수(1, 2, 3, 4, 5)를 붙이고, ‘사오미신유술巳午未申酉戌’에는 성수(6, 7, 8, 9, 10)를 붙입니다.

육기로 본 식물의 일생


하늘은 오운의 작용을 통해 정신을 생성하고, 땅은 육기의 작용을 통해 물질을 형성한다고 하였습니다. 하늘에서는 영혼靈魂이 생성되고, 땅에서는 체백體魄(육체)이 형성됩니다. 그러므로 육기는 땅에서 체백이 생성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체백의 생성도 육기의 순환 속에서 이루어지므로 식물의 일생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3)

3) 오운과 육기의 변화는 차이가 있다. 육기는 토가 네 개이므로 완전한 자화작용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십이지지는 각자 자신이 맡은 바 사명을 충실히 하면 변화 작용을 완결지을 수 있다. 반면에 오운은 토가 두 개이므로 완전한 자화작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십간은 필요에 따라 두 가지 역할을 하기도 한다.


벼농사를 지을 때 열매가 맺히는 때는 음력 8월 15일경입니다. 그래서 추석에는 처음 수확한 햅쌀을 차려 놓고 감사의 제사를 올립니다. 천간으로는 열매를 뜻하는 신辛에 해당합니다. 유酉는 열매의 껍질(金)이 과육(金)을 감싸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다시 말해서 견렴성을 가진 금기金氣가 내외에서 작용하여 열매를 만든 것입니다. 그러나 견렴성堅斂性은 겉만 굳게 하는 것으로 아직 씨가 영글지 않아서 땅에 심으면 썩어 버리고 맙니다.

술戌의 시기는 가을로 날씨가 더 추워집니다. 추운 날씨와 씨껍질의 통일 작용으로 인해 열매 속에서 씨가 형성되는 단계입니다. 이때 수水의 과도한 응고력이 씨앗 속까지 응고시킨다면 생명력이 깃들지 못해서 쭉정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술戌은 수水의 응고력으로 씨앗을 형성하는 한편, 토극수土克水를 함으로써 수水의 과도한 응고 작용을 억제하여 씨앗의 생명력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씨가 형성되는 첫 단계로 공태극空太極이라고 하며, 해자수亥子水의 근원이므로 수원水原이라고도 합니다. 땅에 심으면 새싹이 자라지만, 아직 날씨가 춥고 통일 작용이 부족하여 열매를 맺지는 못합니다.

해亥의 시기는 늦가을로 날씨가 더 추워집니다. 그러므로 추운 날씨와 씨껍질의 통일 작용으로 인해 씨 속의 배아까지 단단해지면서 생명력(핵核, 씨눈)이 깃들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수기水氣가 작용하여 씨를 응고시키면 내부의 양기가 약간 반발합니다. 이를 씨앗 속에서 생성된 목기木氣라 하여 수중지목水中之木이라고 합니다. 씨핵이 형성되어 새로운 생명을 낳을 수 있으므로 수태극水太極이라고 합니다.

자子의 시기는 동지冬至로 더 추워집니다. 수水의 응고(통일) 작용이 더 강해지므로 씨앗 내부에서는 양기가 그만큼 더 반발합니다. 이를 씨앗 속에서 생성된 화기火氣라 하여 수중지화水中之火라고 합니다. ‘동지冬至에 일양시생一陽始生한다’는 말은 씨앗 내부에서 일어나는 양기의 분열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러나 수水의 응고력이 강하기 때문에 분열하고자 하는 의지만 있을 뿐입니다.

아직 날씨는 춥지만 양의 시간대에 접어들어 내부에서는 따뜻한 기운이 발동하기 시작합니다. 여기에 더해 축토丑土는 서남방에 위치한 미토未土의 대화작용을 받아 따뜻한 기운을 머금고 있습니다. 이때 씨앗 속에서 요동치고 있는 화기火氣는 외부의 분열 기운이 더해져 폭발할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하지만 아직 수水의 응고력이 강해서 양기가 뚫고 나오지 못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방법이 토극수土克水를 함으로써 수의 기운을 빼는 것입니다. 농가에서 씨를 땅(토土)에 심어서 발아를 돕는 것은 이 원리를 응용한 것입니다. 축토가 토극수(상극)를 하여 씨앗 껍질(水)의 응고력을 약화시키면 수생목(상생)이 되어 씨앗 속의 양기가 실제 분열하기 시작합니다. 여기서부터 황극皇極이 분열 작용을 주도하게 됩니다.

지축이 정립한 상태에서 축丑은 만물의 분열에 만전을 기하게 됩니다. 그러나 지금과 같이 지축이 양의 방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축토가 분열 기운을 머금게 됩니다. 이뿐만 아니라 화기를 머금은 미토가 대화작용을 하여 분열 기운을 더해 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축토는 음의 운동을 양의 운동으로 전환시킬 때 양기를 과도하게 분열시킬 수밖에 없습니다. 형체가 생성될 때 양기의 과도한 분열로 인해 발생한 열기를 인상화寅相火라고 합니다. 엄마의 자궁에서 아이가 형성될 때 세포가 과도하게 빨리 분열하여 태열이 발생하는 것과 콩을 발아시키기 위해 물속에 넣어 놓으면 기포와 열이 발생하는 것도 상화의 작용입니다.

저수지의 둑이 터지면 사방팔방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수지에 수로를 내어 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해줍니다. 목기木氣가 발산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목기가 흘러나갈 수 있는 길을 먼저 만들어 줘야 하는데, 그 역할을 금기金氣가 해 줍니다. 육기에서 묘목이 유금의 대화작용을 받아 묘금으로 작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묘금卯金으로 화해서 형체가 생기면, 그 형체를 타고 묘목卯木이 발하게 됩니다.

진辰은 양력 4월로 갑자기 잎이 푸르러지는 때입니다. 그래서 형체의 분열을 돕기 위해서 신축성이 필요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수기水氣입니다. 가을, 겨울의 수기는 만물을 응고를 시키는 데 반해, 봄여름의 수기는 신축성을 부여해 주기 때문입니다. 육기에서 진토가 술토의 대화작용을 받아 진수로 작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진수辰水로 화해서 신축성을 부여해 주면 가지와 잎들이 분열하면서 고운 자태를 드러냅니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지축이 기울어져 있어 수水의 과도한 신축성으로 인해 분열이 급격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방지하고자 진토는 토극수를 함으로써 수水의 신축성을 제어하고 있습니다.

우주 변화의 목적은 생명력인 양기陽氣를 보호하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양기가 과도하게 분열하여 소진되는 것을 예방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지축이 기울어져 양기의 분열이 심한 선천에 더욱 요구되는 사항입니다. 육기에서 사화巳火가 해수亥水의 대화작용을 받아 사목巳木으로 작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사화巳火를 한 단계 뒤로 물려 사목巳木으로 작용하게 함으로써 양기의 과도한 분열을 억제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午는 양력 6월에 초목이 무성해지는 때로 양기의 과도한 분열이 일어납니다. 이는 지축이 기울어져서 화기의 분열 기운이 최고조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대로 놔둔다면 양기가 소진되어 우주의 변화는 종말을 고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주는 양기의 발산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방법이 바로 자수子水가 대화작용을 통해 오화午火의 화기를 제어하는 것입니다. 즉 수극화를 함으로써 화생토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불에 물을 부으면 재가 되는 것과 같습니다. 황극이 주도한 양의 분열은 축토丑土에서 시작해서 오화午火에서 끝을 맺습니다.

초목이 봄여름에 생장하는 목적은 가을에 열매를 맺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분열을 통일로 전환시키는 존재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 역할을 하는 것이 초목에서는 꽃이고, 오행에서는 토土입니다. 특히 오화午火의 화기가 충천하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미토未土의 역할이 더욱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미未는 통일 작용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 온전히 10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오화午火보다 더 분열한 상태이므로 음과 양의 성질마저 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미토未土를 무극無極이라고 합니다.

신申은 꽃이 지면서 그 자리에 맺혀 있는 작은 열매입니다. 물 덩어리를 얇은 막으로 감싼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축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축토에 의해 시작된 양기의 분열은 과도한 상태에 이르렀습니다. 오군화午君火에 인상화寅相火의 분열 작용이 더해져 양기가 소진됐기 때문입니다. 만약 양기를 다시 수렴하지 않으면 우주의 변화는 멈추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신상화申相火는 열기를 흡수하여 얇은 막에 가둡니다. 이때 수렴된 열기는 씨앗의 생명력이 되어 다음 생을 살아갈 종자種子가 됩니다.

육기의 본말本末


앞서 살펴봤듯이 술戌에서는 씨앗을 형성하는 동시에 과도한 응고를 억제하고 있습니다. 해亥에서는 씨앗 속에서 양기가 분열하기 시작하고, 자子에서는 씨앗 속에서 양기의 분열이 심화됩니다. 축丑에서는 실제 분열로 전환되어 양기가 발산하기 시작합니다. 인寅에서는 형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양기의 과도한 분열로 인해 열이 발생합니다. 묘卯에서는 양기가 뻗어 나갈 형체를 만듭니다. 진辰에서는 새싹이 분화할 수 있도록 신축성을 갖는 동시에, 과도한 분열을 제어하고 있습니다. 사巳에서는 가지와 잎이 더욱 분열하여 오午에서 분열의 극에 이릅니다. 미未에서는 꽃이 피어 분열이 통일로 전환됩니다. 신申에서 꽃이 지고 작은 열매가 맺히기 시작하여, 유酉에서 먹음직스러운 열매가 됩니다.

유념해야 할 것은 술부터 묘까지의 과정은 씨앗 속에서 일어나는 작용이라는 것입니다. 술戌에서 씨앗이 형성되고, 진辰에서 실제 눈에 보이는 새싹(잎)이 나기 때문입니다. 진과 술에서는 유형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태극太極의 축이라고 합니다. 축丑에서는 수의 응고력이 약해지므로 통일에서 분열로 전환됩니다. 미未에서는 꽃이 피어 분열을 멈추고 통일로 전환됩니다. 축과 미에서는 무형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무극無極의 축이라고 합니다.

이상을 통해 술戌부터 묘卯까지 씨앗 속에서 음형陰形이 만들어지면 진辰부터 유酉까지 자신을 맘껏 드러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
또한 전체 변화를 본말로 살펴보면 술戌부터 묘卯까지의 과정은 변화의 바탕이 되므로 본本이 되고, 진辰부터 유酉까지는 말末이 된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5)

4) 양신陽神은 음형陰形과 반대의 운동을 하므로, 양신이 진辰부터 유酉까지 생성되면 술戌부터 묘卯까지 활동한다. 단, 진辰과 술戌은 변화가 전환되는 지점이므로 관점에 따라 진辰을 음형이 생하는 방위에 배정하고, 술戌을 양신이 생하는 방위에 배정해도 무방하다.

5) 생성의 과정으로 살펴보면 축丑부터 오午까지는 생生, 미未부터 자子까지는 성成이 된다.


해자축인묘진亥子丑寅卯辰이라는 것은 음陰이 정精을 생하는 방위를 말하는 것이요, 사오미신유술巳午未申酉戌이라는 것은 양陽이 신神을 생하는 방위를 말하는 것이다. -『우주변화의 원리』 341쪽


육기의 삼음삼양三陰三陽


- 생장성으로 이루어지는 음양운동

우주 만유는 양의 분열 운동과 음의 통일 운동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음양의 운동은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단계를 거쳐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오운에서 양 운동은 목木에서 시작하여 화火에서 완결되고, 음 운동은 금金에서 시작하여 수水에서 완결됩니다. 양 운동과 음 운동이 각기 생성生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생성은 변화의 실상을 모두 드러내지 못합니다. 변화는 생장성生長成의 삼 단계가 될 때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6)


6) 생장염장生長斂藏에서 생장염(생장성)의 삼 단계를 통해 변화가 완성되면 장藏에서 휴식을 취하며 다음의 변화 주기를 준비한다. 생장성은 본중말本中末·시중종始中終이라고도 한다.


육기는 오운과 달리 삼음(궐음·소음·태음), 삼양(소양·양명·태양)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육기에서 음 운동은 궐음·소음·태음의 삼 단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양 운동은 소양·양명·태양의 삼 단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즉 음 운동은 궐음에서 생하여, 소음에서 장하고, 태음에서 성합니다. 양 운동은 소양에서 생하여, 양명에서 장하고, 태양에서 성합니다. 음양운동은 육기의 삼음삼양 과정을 거칠 때 비로소 만전을 기할 수 있습니다.

- 육기의 표리부동表裏不同
육기의 명칭은 ‘궐음(음)+풍목(양), 태양(양)+한수(음)’와 같이 음과 양을 동시에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명칭이 정음정양正陰正陽을 이루고 있는 이유는 사물의 내부와 외부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실상을 모두 드러내기 위함입니다.

동남에서 양 운동을 한다고 하는 것은 그의 본질에 대한 관찰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음 운동이라고 한 것은 그의 작용 면을 논한 것이다. 그런즉 사물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체용으로 논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므로 육기의 개념을 설정함에 있어서도 이와 같이 이면성을 띄게 한 것이다. 좀 더 풀어서 말하면 삼음三陰은 다 음陰으로서 표시하면서 그 내용은 양陽인 바의 풍목風木·군화君火·습토濕土로서 그의 반대 면을 표시한 것이다. 왜 그렇게 하는가 하면 변화는 반드시 현상 면과 내용 면이 서로 상반된 상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우주변화의 원리』 155쪽


음양을 대표하는 사물로 물과 불을 들 수 있습니다. 물은 기운이 통일되어 있는 상태로 씨앗을 통해 그 형상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씨를 반으로 갈라 보면 속은 부드럽고 겉은 딱딱합니다. 내양외음內陽外陰의 형태로 1수水(1-양, 수-음)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불은 어두운 속불꽃과 밝은 겉불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음외양內陰外陽의 형태로 2화火(2-음, 화-양)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육기에서는 이를 삼양삼음三陽三陰이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표현한 것뿐이며 그 내용은 같습니다. 즉 내부에서 삼음이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음형을 생성하면, 이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풍목·군화·습토가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양신을 분열시킵니다. 반대로 외부에서 삼음이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음형을 형성하면, 이를 바탕으로 내부에서 풍목·군화·습토가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양신을 통일합니다. 그리고 내부에서 상화·조금·한수가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음형을 생성하면, 이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삼양이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양신을 분열시킵니다. 반대로 외부에서 상화·조금·한수가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음형을 형성하면, 이를 바탕으로 내부에서 삼양이 생장성의 과정을 거쳐 양신을 통일합니다.

이처럼 만물은 내외에서 음양이 함께 공존하는 형태, 즉 표리부동表裏不同한 형태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주의 목적이 양 운동의 과정에서는 음형(내부)이 양신(외부)의 분열을 제어하고, 음 운동의 과정에서는 음형(외부)이 양신(내부)을 통일하는 데 있기 때문입니다.